국가유산 검색 기록유산 원문 유형별 검색
기능버튼모음
본문

유형별 검색

  • 인쇄

백제역사유적지구

백제역사유적지구(공주 공산성, 익산 미륵사지,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부여 관북리 유적과 부소산성, 부여 정림사지, 부여 왕릉원, 부여 나성, 익산 왕궁리유적)

백제는 기원전 18년부터 서기 660년까지 약 700여 년간 존속한 한반도의 고대국가 중 하나이다. 세계유산 백제역사유적지구는 백제 후기(475~660) 문화를 대표하는 유산으로 「웅진시기」는 공주 공산성,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사비시기」 는 부여 관북리유적과 부소산성, 부여 정림사지, 부여 왕릉원, 부여 나성, 「사비후기」 는 익산 왕궁리유적과 익산 미륵사지로 구성된 연속유산이다.

백제역사지구는 과거 백제가 활발한 교류를 통하여 중국-백제-일본을 이어주는 고대 동아시아 교류의 중심이었음을 증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류를 통해 불교의 확산과 예술, 건축 기술 등의 발전에 기여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세계유산적 가치

등재기준 : 세계문화유산기준 (Ⅱ), (Ⅲ)
  • (Ⅱ) 백제역사유적지구의 고고학 유적과 건축물은 한국과 중국, 그리고 일본에 존재하였던 고대 동아시아 왕국들 간에 진행된, 건축기술의 발전과 불교의 확산을 가져온 교류를 보여준다.
  • (III) 수도 입지 선정을 통해 백제의 역사와, 불교 사찰을 통해 백제의 내세관 및 종교를 알 수 있다. 성곽과 건축물의 하부구조를 통해 독특했던 백제의 건축기술을 보여주며 고분과 석탑을 통해 백제 예술의 아름다움을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유산들은 사라져 간 백제문화와 역사를 보여주는 특출한 증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