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검색 문화재검색 문화재 검색
기능버튼모음
본문

문화재 검색

전라남도 문화재자료

영암이우당 (靈巖二友堂)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분 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가옥
수량/면적 2,989㎡
지정(등록)일 2004.02.13
소 재 지 전남 영암군 덕진면 노송리 송내마을 302번지 외
시 대 1474년경 초창, 18세기말엽 중건
소유자(소유단체) 거창신씨영암종중 
관리자(관리단체)  
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는 각 지자체 담당부서에서 문화재정보를 입력·수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상 세 문 의 : 전라남도 영암군 문화관광과 061-470-2225
문화재 설명

이우당은 신영명(愼榮命)이 1470년경 건축하였다. 이우당은 맛배지붕으로 정면 5칸 측면 2칸이며 가구는 전방에 퇴주를 둔 5량 형태로 들보 위에는 사다리꼴의 판대공을 주어 종도리를 받치게 한 형태이며 주변 건물로는 사당, 강당, 내삼문, 외삼문, 관리사 등이 있다.

1580년 영명의 손자인 강원감사 신희남(愼喜男)이 40년의 관직생활을 끝내고 귀향하여 허술해진 이우당을 개수하고, 못을 파서 청백(淸白)의 상징인 연(蓮)을 심고 언덕에다 충절(忠節)의 상징인 오죽(烏竹)을 심었기에 편액(篇額)을 이우당(二友堂)이라 하였다.

이우당은 율곡 이이(栗谷 李珥),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 사암 박순(思菴 朴淳), 청련 이준백(靑蓮 李俊白), 약포 정탁(藥圃 鄭琢), 옥봉 백광훈(玉峰 白光勳), 일송 심희수(一松 沈喜壽), 하의 임억령(荷衣 林億齡), 영천 신잠(靈川 申潛)등 거유들이 도학과 절의를 논했으며 그 후 신희남(瀯溪 愼喜男)의 증손 천익(天翊 1592~1661)이 보수하여 거처한 후 문곡 김수항, 양천 남구만, 백강 이경여 등의 인물들이 드나들며 도덕과 문장을 논의하였던 곳이다. 이후 이우당은 보수를 거듭하여 현재까지 보존되어 왔으며, 천하명필 한석봉도 이곳에서 서예를 배웠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