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검색 문화재검색 문화재 검색
기능버튼모음
본문

문화재 검색

인천광역시 기념물

영일정씨 판결사공파‧승지공파 동춘묘역 (迎日鄭氏 判決事公派·承旨公派 東春墓域)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분 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면적 20,737㎡
지정(등록)일 2020.03.02
소 재 지 인천광역시 연수구
시 대 15세기 후반
소유자(소유단체) 영*** 
관리자(관리단체) 영*** 
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는 각 지자체 담당부서에서 문화재정보를 입력·수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상 세 문 의 : 인천광역시 연수구 문화체육과 032-749-7312
문화재 설명

○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의 영일정씨의 판결사공·승지공파의 유래는 지금으로부터 4백여 년 전인 1607년(선조 40)에 승지공(承旨公) 정여온(鄭如溫. 1570~1632)이 부친 정제(鄭濟. 1540~1607)의 묘소를 연수구 청량산 밑[일명 능어리(陵御里)]에 모신 후부터라고 전해 온다. 이후 후손들이 청량산 동쪽(먼우금) 지역과 봉재산 기슭(동막, 척전마을) 일대에 집성촌을 이루면서 지금에 이르게 되었다. 10대(代) 4백여 년 이상 인천에서 가계를 이어온 대표적 종중(宗中)이다.

인천부읍지(仁川府邑誌)(1842년, 1871년, 1899년 간행)의 총묘(塚墓: 무덤) 조항에 등재된 영일정씨는 강원감사 정시성(鄭始成. 1608~1678), 판돈녕부사 정수기(鄭壽期. 1664~1752), 우의정 정우량(鄭羽良. 1692~1754), 좌의정 정휘량(鄭翬良. 1706~1762), 참판 정원달(鄭遠達. 1735~1805) 등이다. 또한 인물 조항에는 효자 정려(旌閭: 충신, 효자, 열녀 등을 기리기 위해 그 동네에 정문을 세워 표창하는 일)가 내려진 정세빈(鄭世賓)이 등재되어 있다. 이 외에도 제주목사를 지낸 정석빈(鄭碩賓), 영조의 사위였던 정치달(鄭致達: 정우량의 아들) 등도 영일정씨 가문을 인천의 명문세족으로 자리 잡게 한 주요 인물들이다.

○ 묘역 내에는 17기의 묘소(일부 묘소 제외)와 묘비, 문인석(文人石: 무덤 앞에 문관 형상으로 만들어진 돌), 석양(石羊: 죽은 이를 보호하기 위해 세운 돌짐승), 망주석(望柱石: 무덤 앞의 양옆에 하나씩 세우는 돌로 만든 기둥), 상석(床石: 무덤의 봉분 앞에 설치해 놓은 석물. 일명 상돌) 등 석물(石物) 66점이 보존되어 있다. 이들 석물은 조선 중기~후기 미술사의 흐름을 엿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묘제 양식의 기본 상식을 알 수 있고, 당시의 문화와 생활의 한 부분을 엿 볼 수 있어 문화재적 가치가 지대하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