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진주응석사삼존여래좌상 (晉州凝石寺三尊如來坐像)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
---|---|
수량/면적 | 3구(軀) |
지정(등록)일 | 2003.10.30 |
소 재 지 | 경남 진주시 집현면 정평리 741 응석사 |
시 대 | 숭정16년(1643) |
소유자(소유단체) | |
관리자(관리단체) | |
해제일 | 2010.12.21 |
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는 각 지자체 담당부서에서 문화재정보를 입력·수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상 세 문 의 : 경상남도 진주시 문화관광담당관실 055-749-5312
해제사유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승격
문화재 설명
진주 응석사 삼존여래좌상은 응석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다. 석가여래를 본존으로 하고 왼쪽의 불상은 아미타여래불이며, 오른쪽의 불상은 약사여래불이다.
본존불인 석가여래는 높이 144.5㎝, 어깨 폭 73.2㎝이며 왼손은 별도로 조각하였다. 왼쪽의 아미타여래는 높이 130.7㎝, 어깨 폭 60.3㎝이며 왼손과 오른손은 별도로 조각하였다. 오른쪽의 약사여래는 높이 124.8㎝, 어깨 폭 59.8㎝이며 왼손과 오른손은 별도로 조각하였다.
응석사에 봉안된 삼존여래좌상은 삼세불상(현재:석가모니불, 미래:아미타불, 과거:약사여래불)으로 조선후기에 확산된 도상이다. 이러한 삼세불은 18세기 이후의 불상들이 상대적으로 많으나 응석사 삼존불은 복장유물에 의해 조성연대가 숭정(崇禎)16년(1643)임을 알 수 있는 불상으로 규모나 작품성에 있어서 학술적 가치를 갖는 불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