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검색 문화재검색 문화재 검색
기능버튼모음
본문

문화재 검색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인천도호부관아 (仁川都護府官衙)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분 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수량/면적 2동 / 17,589.9㎡
지정(등록)일 1982.03.02
소 재 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553 (문학동, 문학초등학교 내)
시 대 조선시대
소유자(소유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리자(관리단체) 인천광역시교육청 
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는 각 지자체 담당부서에서 문화재정보를 입력·수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상 세 문 의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화예술과 032-880-4667, 7971
문화재 설명

조선시대의 기본적인 지방 행정기구는 도(道)이다. 경기도의 경우, 3개의 목(牧)과 8개의 도호부(都護府), 10개 군(郡)과 12현(縣)이 있었고, 8개의 도호부 가운데 인천도호부와 부평도호부가 포함되어 있었다. 인천이 도호부로 승격된 것은 조선 세조 5년(1459)으로 세조의 비(妃)인 자성왕후 윤씨의 외향(外鄕)이기 때문이었다.인천도호부관아의 건축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객사를 보수하는 과정에서 발견된 지붕의 기와에서 ‘강희 16년’이라는 명문(銘文)이 나온 것을 볼 때 숙종 3년(1677)에 중수된 것임을 알 수 있을 뿐이다. 인천도호부의 건물 구성은 《인천부읍지(仁川府邑誌)(1899)》를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현재 문학초등학교 내에 위치하고 있어 출입,관람이 자유롭지 않다.

인천향교 옆에 인천도호부관아 재현물로 관람할 수 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