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산 검색 문화재검색 문화재 검색
기능버튼모음
본문

문화재 검색

국가민속문화재

흥선대원군 기린흉배 (興宣大院君 麒麟胸背)

Heungseon Daewongun's Rank Badge with Girin Design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분류, 수량/면적, 지정(등록)일, 소재지, 시대, 소유자(소유단체), 관리자(관리단체)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분 류 유물 / 생활공예 / 복식공예 / 의복
수량/면적 1점
지정(등록)일 1979.01.26
소 재 지 대구광역시 수성구 청호로 321-0 (황금동, 국립대구박물관)
시 대 19세기
소유자(소유단체) 국립중앙박물관 
관리자(관리단체) 국립대구박물관 
문화재 담당부서 : 근대문화재과- 상세문의
문화재 설명

이 유물은 흥선대원군 이하응(1820~1898)의 관복(官服)에 달았던 흉배(胸背)이다. 이하응은 영조의 증손이 되는 남연군(南延君) 구(球)의 네 아들 중 막내로 순조 20년(1820)에 태어나 헌종 9년(1843) 흥선군으로 봉해지고, 철종 14년(1863) 왕이 승하하자 둘째아들 명복(命福)이 즉위함으로써 대원군으로 봉해졌으며, 광무 2년(1898)에 승하하였다.

흉배는 조선시대 백관의 관복인 단령(團領)의 가슴과 등에 붙였던 사각형의 장식물이며 장식의 목적과 함께 착용자의 신분을 나타내기 위하여 품계에 따라 문양을 달리하여 만들었다. 관복과 같은 색의 사(紗)나 단(緞)에 다양한 문양을 직조하거나 수놓았는데 계급의 표시가 되는 동물 도안을 중심에 배치하고, 구름·여의주·파도·바위·불로초 등을 주위에 배열하였다. 시대에 따라 흉배의 크기·흉배의 제작법·문양의 종류와 배치방법 등의 변화가 있었다.

『경국대전』「예전」의 기록에는 대군은 기린을 수놓은 흉배를 달았다고 전하는데, 이 내용에 따르면 흥선대원군이 달았다는 기린 흉배는 대군의 예우를 갖춘 것으로 보인다.

이 기린흉배는 기린 한 마리가 구름을 헤치고 발굽을 모아 질주하고 있는 모습으로, 약간 검은색이 도는 청색 단에 금실과 은실로 수를 놓았다. 문양은 기린을 중심으로 위 양옆에는 구름무늬를, 아래에는 구름과 물결무늬 등을 배치하였다. 자수 방법과 문양의 배치가 정교하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