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설명
완초장이란 왕골로 기물을 만드는 사람을 말한다. 왕골은 논 또는 습지에서 자라는 1, 2년생 풀로서 키는 60∼200㎝에 이르며 완초, 용수초, 현완, 석룡초라고도 한다. 왕골제품으로는 자리, 돗자리, 방석, 송동이, 합 등이 있다.
왕골이 신라시대에 이미 사용되었음은 『삼국사기』의 기록을 통해 알 수 있다. 고려때에는 사직신(社稷神)의 신위에 왕골자리를 깔았으며, 왕실에서 주로 사용하였고 중국에 보내는 증여품으로도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매우 귀한 제품으로 궁중이나 상류계층에서 사용하였고, 외국과의 중요한 교역품으로도 쓰였다.
현존하는 왕골제품을 통해 본 제작기법으로는 도구를 이용하는 두 가지 방법과 손으로 엮는 방법이 있다. 도구를 이용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고드랫돌에 맨 두 가닥 실을 자리틀에 걸고 자리알을 두가닥 실로 엮는 노경소직(露經疏織 :날줄이 겉으로 들어나 보이며 성글게 짜여진 기법)의 자리와 방석이 있으며 또 하나는 돗틀에 씨실을 촘촘히 걸어 긴 대바늘에 꿴 자리알을 넣으면서 바디로 눌러 다져서 짜는 은경밀직(隱經密織 :날줄이 겉으로 들어나지 않으면서 촘촘히 짜여진 기법)의 돗방석과 돗자리가 있다. 손으로 엮는 방법으로는 왕골 4날을 반으로 접어 총 8개의 날줄을 정(井)자형으로 엮은 후 두 개의 씨줄을 엮어 만드는 8각, 원형의 방석이 있고, 삼합, 송동이(작은 바구니) 등도 모두 이 기법을 이용하여 만든다.
왕골제품은 역사가 오랜 생활문화유산으로, 한때 단절위기도 있었지만 1970년 이후 그 제작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지금까지의 왕골제품은 깔 것과 용기에 불과하였으나, 염색과 굵기의 조절이 용이하며 특별한 도구 없이도 다양한 기물을 창작할 수 있는 좋은 소재이다.
Wanchojang refers to an artisan with the skill of making objects with sedge (Cyperus exaltatus, wanggol in Korean), which is an annual/biennial plant that grows in a wet rice paddy or swamp. It grows to a height of 60 –
200cm. Sedge is used to make mats, seat cushions, and baskets.
According to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sedge was used during the Silla Period (circa 57 BC – 935 AD). During the Goryeo Period (877 – 1394), a sedge mat was laid on the place where the deities of the State are enshrined. Sedge mats were used chiefly in royal palaces, and they were also sent to China as gifts.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 – 1910), sedge mats were used mostly in royal palaces or in the homes of upper class people. In foreign trade, the mats made in Korea were regarded as luxury goods.
Sedge products are made either manually or with tools. Mats and cushions are made either with a coarse weaving technique with warps exposed or with a close weaving technique with warps not exposed. As for the manual weaving method, eight warps are entwined to form a “井” shape and then two wefts are woven into it to make round or octagonal cushions and baskets.
Production of sedge goods once went through the doldrums, but it regained strength in the 1970s and thereafter. Up to now, sedge has been used chiefly to make mats and baskets, but it can be used to make many other objects without the need for special tools by adjusting the colors and the thickness of warps and wefts.
莞草匠是指用莞草制作器物的技工。莞草是生长在水田或湿地的一两年生草,高六十∼二百厘米,又名龙水草、悬莞、石龙草。莞草制品有 坐垫、席子、薄团、小筐、盒等。据《三国史记》记录,新罗时代开始使用莞草,高丽时期在社稷神的神位铺莞草席。莞草大多用于王室中,也送往中国。到朝鲜时代被视为贵重物品,受到宫廷与上流阶层的青睐,还用于海外贸易。莞草制品是历史悠久的生活文化遗产,曾面临失传危机,1970年以后其制作活动又重新活跃起来。一直以来,莞草制品仅限于垫品与容器,莞草容易染色和调节粗度,无需特别道具也能创作出各种器物。为了继承传统制作技法现已将莞草匠指定为重要的无形文化财,由技能保有者李相宰传承。
莞草匠とは藺(い)で器物を作る人のことである。藺は田もしくは湿地で育つ1・2年草で、高さは60~200㎝に至り、莞草・龍鬚草・懸莞・石龍芻とも呼ばれている。藺の製品としては、ござ・筵(むしろ)・座布団・ソンドンイ(小さな箱)・盒などがある。藺が新羅時代に既に使われたことは『三国史記』の記録から分かる。高麗時代には社稷神の神位に藺の筵を敷くなど、王室で主に使われ、中国に送る贈り物としても使われた。朝鮮時代に至ると、非常に貴重な製品として扱われ、宮中や上流階級の人が使い、外国との重要な交易品としても使われた。藺の製品は長い歴史のある生活文化遺産で、一時期は断絶の危機に立たされたこともあったが、1970年以降再びその制作活動が盛んに行われた。これまでの藺の製品は敷物と容器に過ぎなかったが、染色と太さの調節が容易で、特別な道具がなくても様々なものを創作することが出来る良い素材であるため、伝統的な製作技法を継承するために重要無形文化財に指定され、李相宰氏が技能保持者に認定されてい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