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전등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은 조성원문을 통하여 숭정(崇禎) 9년(1636)이라는 뚜렷한 조성연대를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대웅전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이 조각승 수연(守衍)에 의해 조성된 지 13년이 지난 뒤에 역시 수연이 수화승이 되어 제작한 상들이다. 지장보살상과 그 좌우에 무독귀왕, 도명존자, 시왕(十王)와 귀왕, 판관, 사자상, 동자상, 인왕상 등 명부전의 권속이 많다보니 조각승도 12명이나 참여하여 수연의 지휘 아래 제작을 맡았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상들의 조성을 위한 시주에 수많은 신도들이 참여한 것으로 보아 당시 전등사 일대의 대대적인 불사(佛事)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지장보살상은 방형의 얼굴에 엄중하면서도 자비로운 상호(相好)를 보이며 양 어깨에 걸쳐진 대의 옷자락은 유연한 주름을 이루며 하체로 연결된다. 양손으로는 지물을 들지 않고 엄지와 중지를 맞대어 설법인을 결하고 있는데, 전체적인 비례와 조형감이 우수하다. 지장보살상과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도명존자상은 얼굴표현에서 사실성이 돋보이며, 장삼위에 가사를 입은 착의형식이 단정하다. 수연 조각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장보살상과 도명존자 외에도 시왕상과 기타 권속의 여러 상에서 보이는 인간적이면서도 차분한 분위기는 수연 조각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조각기법상의 우수성, 조각가와 조성연대에 대한 분명한 기록, 원래부터 전등사 명부전 봉안을 위해 조성된 상이라는 여러 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큰 상들이다.
These wooden statues of Buddhist deities, saints, and their dependents, all of which are enshrined in Jeondeungsa Temple in Ganghwa, were made in 1636 by a sculptor and Buddhist monk named Suyeon who also carved the Wooden Seated Buddha Triad enshrined in the temple’s Daeungjeon Hall thirteen years earlier. He formed a team of twelve monk to assist him with the carving of the Ksitigarbha, which is flanked by two acolytes, Ten Underworld Kings, Devil Kings, Judges, Lions, Children, Vajradhara, and other beings enshrined in Myeongbujeon Hall. Records say that the project of enshrining the statues required the participation of a large number of worshippers and alms givers, suggesting that it was a major festive event held in the area around Jeondeungsa Temple. The statue of Ksitigarbha Bodhisattva is characterized by a highly refined sense of proportion and balance. His attendant, Domyeong, also displays similar characteristics, including a realistic depiction of the face and the upper robe worn neatly over the monastic robe. Other statues, including the Ten Underworld Kings, also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a wooden sculpture carved by Suyeon. These Buddhist statues are regarded as valuable Korean Buddhist heritages not only because of their artistic excellence but also because there are clear records of when and by whom they were made and because they are still kept in their original location, Myeongbujeon Hall of Jeondeungsa Temple, performing their original function.
通过江华传灯寺木造地藏菩萨三尊像与十王像修建发愿文,可以得知其确切的修造年代为崇祯9年(1636年);不仅如此,还可以了解它们是雕刻僧守衍制造完大雄殿木造释迦如来三佛坐像13年后,即在他出任首画僧时制作而成的佛像。因要雕刻地藏菩萨像及其左右的无毒鬼王,以及道明尊者、十王和鬼王、判官、狮子像、童子像、仁王像等众多冥府殿的人物,所以另有12名雕刻僧在守衍的指挥下参与佛像制作。此外,从有大量的信徒为制作这些佛像布施的记载中,可以推定当时传灯寺一带有规模宏大的佛事。
地藏菩萨像整体比例和造型感非常出色。道明尊者像的特征与地藏菩萨像极为相似,其面孔采用写实手法,身披长衫与袈裟,仪表端庄。除了地藏菩萨像与道明尊者这些能够表现了守衍雕刻特征的作品之外,在十王像和其他眷属的雕像中展现出的既人性化又安详的气氛,也体现了守衍的雕刻风格。
卓越的雕刻技法、对雕刻家和制作年代的确切记载、佛像从一开始就是为在传灯寺冥府殿供奉而制作的等,都表明它们具有极高的文化价值。
江華伝灯寺木造地蔵菩薩三尊像と十王像は、発願文により崇禎9年(1636)という制作年度が明らかである。また、大雄殿木造釈迦如来三仏坐像が彫刻僧の守衍により制作されて13年が経った後に、守衍の指導によりまた制作された。地蔵菩薩像やその左右に無毒鬼王、道明尊者、十王と魔王、判官、獅子像、童子像、仁王像など冥府殿の眷属が多く制作されたため、12人もの彫刻僧が参加しており、監督は守衍が行ったと考えられる。また、これらの仏像を制作するために多くの信徒が施主となったことを考えると、これらの仏像の制作が当時、伝灯寺一帯の大々的な仏事であったことが窺える。
地蔵菩薩像は全体的な比率と造形美に優れている。地蔵菩薩像と非常に類似した特徴を示す道明尊者像は、顔の表情が写実性に優れ、緇衣の上に袈裟を掛けた端正な着衣形式を持つ。守衍の作品の特徴を克明に示している地蔵菩薩像と道明尊者像の他にも、十王像とその他の眷属から感じられる人間的でありながら落ち着いた雰囲気は、守衍の作品のもう一つの特徴といえる。
彫刻技法の素晴らしさ、彫刻家と制作年代が明らかになっている記録、最初から伝灯寺冥府殿に安置するために制作されたものである点などから考えると、非常に価値の高い作品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