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검색
보물
부여 무량사 극락전 (扶餘 無量寺 極樂殿)Geungnakjeon Hall of Muryangsa Temple, Buyeo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불전 |
---|---|
수량/면적 | 1동 |
지정(등록)일 | 1963.01.21 |
소 재 지 | 충남 부여군 외산면 무량로 203, 무량사 (만수리) |
시 대 | 조선시대 중기 |
소유자(소유단체) | 무량사 |
관리자(관리단체) | 무량사 |
무량사는 신라 말에 범일이 세워 여러 차례 공사를 거쳤으나 자세한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다만 신라말 고승 무염대사가 일시 머물렀고, 고려시대에 크게 다시 지었으며, 김시습이 이 절에서 말년을 보내다가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이 건물은 우리나라에서는 그리 흔치않는 2층 불전으로 무량사의 중심 건물이다. 외관상으로는 2층이지만 내부에서는 아래·위층이 구분되지 않고 하나로 트여 있다. 아래층 평면은 앞면 5칸·옆면 4칸으로 기둥 사이를 나누어 놓았는데 기둥은 매우 높은 것을 사용하였다. 위층은 아래층에 세운 높은기둥이 그대로 연장되어 4면의 벽면기둥을 형성하고 있다. 원래는 그 얼마되지 않는 낮은 벽면에 빛을 받아들이기 위한 창문을 설치했었는데 지금은 나무판 벽으로 막아놓았다.
아미타여래삼존상을 모시고 있는 이 불전은 조선 중기의 양식적 특징을 잘 나타낸 불교 건축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우수한 건물이다.
이미지
부여 무량사 극락전_천정 문양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좌측면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정면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우측면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배면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내부 좌측면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내부 전경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내부 우측면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내부 2층 구조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공포 (촬영년도 : 2015년)
부여 무량사 극락전_2층 추녀부와 서까래 (촬영년도 : 2015년)
무량사극락전(처내공포)
무량사극락전(서면)
무량사극락전
무량사극락전(불단측면)
무량사극락전(천장)
무량사극락전
무량사극락전
무량사극락전
무량사 극락전 전경
무량사 극락전 내부 불당
무량사 극락전 배면 공포
무량사 극락전 배면
무량사 극락전 귀공포
무량사 극락전 내부 공포
무량사 극락전 추녀부
무량사 극락전 2층 측면 공포
무량사 극락전
도면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앙시도(상하층)2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앙시도(상하층)1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서측면도2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서측면도1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상/하층 지붕도(와복도)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상,하층 지붕도(와복도)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배치도2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배치도1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다-다 횡단면도2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다-다 횡단면도1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1층 평면도2
도면_보물 _부여 무량사 극락전_보수공사 1층 평면도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