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물
기묘제현수필 (己卯諸賢手筆)Gimyojehyeonsupil(An Cheosun's essay)
분 류 | 기록유산 / 서간류 / 시고류 / 시고 |
---|---|
수량/면적 | 1첩 |
지정(등록)일 | 1994.05.02 |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 |
소유자(소유단체) | 순흥안씨종중 |
관리자(관리단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문화재 담당부서 : 유형문화재과- 상세문의
문화재 설명
사재 안처순(1492∼1534)이 중종 13년(1518)에 구례현감에 제수되어 떠날 때, 동료나 친구들이 이별을 아쉬워하며 써준 송별 시문을 모아 하나의 첩으로 엮은 것이다. 안처순은 고려시대 성리학을 처음으로 소개한 안향의 9대손으로, 예문관검열, 홍문관박사와 구례현감 등의 벼슬을 거쳤다.
이 수필첩은 안처순이 세상을 떠난 후인 선조 36년(1603)에 김인후의 발문과 함께 첩으로 만들어졌고, 순조 29년(1829)에 조인영에 의해 전라감영에서 다시 제본한 것이다. 총 3면에서 50면에 이르고 있는데, 수필첩 끝에는 총 24명의 명현들의 성명, 호, 관직 등이 간략하게 수록되어 있다.
이것은 조선 중기의 정치사상사 및 서지학 등 학술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