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창경궁 (昌慶宮)Changgyeonggung Palace
분 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
---|---|
수량/면적 | 216,774㎡ |
지정(등록)일 | 1963.01.18 |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창경궁) |
시 대 | 조선 세종 즉위년(1418) |
소유자(소유단체) | 국(문화재청) |
관리자(관리단체) | 문화재청 창경궁관리소 |
창경궁은 1418년 조선 3대 태종이 세종에게 왕위를 물려준 후 생활하던 수강궁(壽康宮)이 있었던 자리에 지어진 조선시대 궁궐이다.
조선 9대 성종은 1483년(1484년 완공) 당시 세 명의 대비(세조의 왕비 정희왕후, 추존 덕종의 왕비 소혜왕후(인수대비), 예종의 왕비 안순왕후)를 위해 수강궁을 크게 확장하여 1484년에 완공되어 그 이름을 창경궁이라 하였다. 처음 지을 당시에는 명정전·문정전의 정전과 수령전·환경전·경춘전·인양전·통명전 등의 침전, 양화당·여휘당·사성각 등의 전각이 있었다.
조선시대의 궁궐 중에서 유일하게 동쪽을 향해 지어졌으며, 창덕궁과 함께 동궐東闕로 불렸다. 창건 당시에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다가 임진왜란 때 궁궐이 모두 소실된 이후, 광해군 대에 창덕궁과 함께 다시 지어져 고종 대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이 중건되기까지 조선왕조 역사의 중심 무대가 되었다. 창경궁은 경종, 정조, 순조, 헌종이 태어난 곳이자 소현세자, 추존 장조(사도세자) 혜경궁(헌경황후) 홍씨가 세상을 떠난 곳이다.
그러나 왕조의 상징이었던 창경궁은 1907년부터 일제에 의해 훼손되어 전각 대부분을 헐어내고 동물원과 식물원을 설치하여 일반에 공개하였으며, 1911년에는 궁의 이름마저 ‘창경원昌慶苑’으로 격하시켰다. 광복 후 1983년 본격적인 복원사업이 시작되어 궁의 이름을 다시 창경궁으로 되찾게 되었고 경내에 있던 동물원은 과천 서울대공원으로 옮긴 후 옛 모습으로 복원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동영상
-
제2회 궁중문화축전 개막식 현장을 가다
-
2015 궁중문화축전 - 오늘 궁을 만나다
-
12강 조선의 궁궐
-
TV 문화유산을 만나다 2편
-
가을밤 고궁의 매력속으로, 창경궁 야간개방 특별행사
-
창경궁 2부 문정전 앞뜰은 알고 있다
-
창경궁 1부 통명전의 빛과 어둠
-
400여 년 전으로의 시간여행 2014 궁궐 일상을 걷다 -영조와 창경궁
-
‘창경궁의 밤을 밝히다’ 2014 궁중문화축전 창경궁 야간개방 현장
-
4대 궁궐 봄꽃풍경 시리즈 - 창경궁
-
4대 궁궐 봄꽃풍경
-
창경궁 3부 벚꽃놀이에 가려진 슬픔
-
2017 궁중문화축전 현장을 가다 2부 - 그 열흘 간의 기록
-
정유진찬(순조 등극 30년 기념 연향)야진찬 공연영상
-
9일간의 특별한 궁궐 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