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 밤가시 초가 一山 밤가시 草家 경기도 민속 문화재 ‘일산 밤가시 초가’는 밤나무로 만든 초가인데, 지붕 모양이 똬리(도넛) 형태이다. 19세기 전반 이전의 건축물로 추정되는데, 조선 후기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전통적인 서민 농촌주택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초가가 있는 곳은 율동(栗洞)이란 지명이 생겨날 정도로 주변에 밤송이 가시와 밤나무가 많았는데, 그러한 주변 환경을 이용해 밤나무로 집을 지어 ‘밤가시 초가’라 한다. 초가의 주변에는 밤나무로 세운 울타리, 담장이 있고, 정면의 대문으로 들어가면 안마당이 있다. 안마당 위로 똬리 모양의 지붕이 열려 있어, 하늘을 바라보면 원형의 곡선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지붕 사이로 빛이 들어오는 구조로, 자연 조명, 통풍, 습도 조절 등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안마당의 둥근 웅덩이는 이 가옥의 특징이며, 똬리 모양 지붕의 처마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이곳으로 모여 배수구를 통해 빠진다. 조선 시대 초기부터 일산 지역에 집성촌(集姓村: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촌락)을 이루어 살던 단양 이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던 초가로서, 향토성, 독특성, 원형 보존성 등 건축사적 가치가 높다. 단순하고 소박한 모습으로 옛 농가의 정겨움을 간직하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일산 밤가시 초가 一山 밤가시 草家 경기도 민속 문화재 ‘일산 밤가시 초가’는 현재 위치에서 왼쪽 위로 바라보이는 언덕에 있다. 19세기 전반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초가가 자리 잡은 땅은 그대로인데, 일산 신도시 개발 때 주변 주택단지를 낮게 만들어서, 결과적으로 초가의 위치가 주변보다 높아졌다. 초가 아래쪽으로는 현재 자리에서 앞쪽에 보이는 민속전시관(기와지붕 한옥), 단독 주택단지로 출입하는 관리사(전통 돌기와 지붕)와 대로변으로 출입하는 기와지붕의 사주문(四柱門: 기둥이 네 개인 문)이 있다.
일산 신도시에 위치한 이 가옥은 과거에 이 지역에 많았던 밤나무를 이용해 집을 건축했다는 의미에서 이름이 지어졌다. 주요 구조재인 기둥, 대들보, 서까래뿐만 아니라 벽선, 창호 등과 같은 수장재도 밤나무를 재료로 하였다. 건립연대는 19세기 전반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가옥은 가운데 마당을 중심으로 남쪽에 ‘ㄱ’자형 안채와 북쪽의 ‘ㅡ’자형 건물이 담장으로 연결되어 똬리를 틀듯이 초가지붕 아래 놓인 배치를 하고 있다. 초가지붕 가운데 동그란 하늘 구멍이 보이고 땅에는 이보다 조금 큰 동그란 마당이 기단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비나 눈이 올 때 처마에서 떨어지는 낙숫물이 이곳에 모여 부엌이나 다른 곳으로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안채의 가구는 기둥 위에 대들보를 건너지르고 4개의 도리를 얹어 구성한 평사량(平四梁)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경기도 지역에서 많이 보이는 가구구조로, 용마루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초가지붕에 주로 사용된다. 밤나무를 재료로 한 기둥에는 도끼와 자귀로 거칠게 다듬은 흔적이 보이고, 지붕에 올린 서까래도 불규칙한 배열을 하고 있어 서민 가옥의 단순하면서도 소박한 면모를 볼 수 있다.
일산 밤가시 초가 一山 밤가시 草家 경기도 민속 문화재 ‘일산 밤가시 초가’는 밤나무로 만든 초가인데, 지붕 모양이 똬리(도넛) 형태이다. 19세기 전반 이전의 건축물로 추정되는데, 조선 후기 우리나라 중부지방의 전통적인 서민 농촌주택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초가가 있는 곳은 율동(栗洞)이란 지명이 생겨날 정도로 주변에 밤송이 가시와 밤나무가 많았는데, 그러한 주변 환경을 이용해 밤나무로 집을 지어 ‘밤가시 초가’라 한다. 초가의 주변에는 밤나무로 세운 울타리, 담장이 있고, 정면의 대문으로 들어가면 안마당이 있다. 안마당 위로 똬리 모양의 지붕이 열려 있어, 하늘을 바라보면 원형의 곡선미를 느낄 수 있다. 또한 지붕 사이로 빛이 들어오는 구조로, 자연 조명, 통풍, 습도 조절 등의 기능을 지니고 있다. 안마당의 둥근 웅덩이는 이 가옥의 특징이며, 똬리 모양 지붕의 처마에서 떨어지는 빗물이 이곳으로 모여 배수구를 통해 빠진다. 조선 시대 초기부터 일산 지역에 집성촌(集姓村: 같은 성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촌락)을 이루어 살던 단양 이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던 초가로서, 향토성, 독특성, 원형 보존성 등 건축사적 가치가 높다. 단순하고 소박한 모습으로 옛 농가의 정겨움을 간직하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일산 밤가시 초가 一山 밤가시 草家 경기도 민속 문화재 ‘일산 밤가시 초가’는 현재 위치에서 왼쪽 위로 바라보이는 언덕에 있다. 19세기 전반 이전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초가가 자리 잡은 땅은 그대로인데, 일산 신도시 개발 때 주변 주택단지를 낮게 만들어서, 결과적으로 초가의 위치가 주변보다 높아졌다. 초가 아래쪽으로는 현재 자리에서 앞쪽에 보이는 민속전시관(기와지붕 한옥), 단독 주택단지로 출입하는 관리사(전통 돌기와 지붕)와 대로변으로 출입하는 기와지붕의 사주문(四柱門: 기둥이 네 개인 문)이 있다.
일산 신도시에 위치한 이 가옥은 과거에 이 지역에 많았던 밤나무를 이용해 집을 건축했다는 의미에서 이름이 지어졌다. 주요 구조재인 기둥, 대들보, 서까래뿐만 아니라 벽선, 창호 등과 같은 수장재도 밤나무를 재료로 하였다. 건립연대는 19세기 전반 이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가옥은 가운데 마당을 중심으로 남쪽에 ‘ㄱ’자형 안채와 북쪽의 ‘ㅡ’자형 건물이 담장으로 연결되어 똬리를 틀듯이 초가지붕 아래 놓인 배치를 하고 있다. 초가지붕 가운데 동그란 하늘 구멍이 보이고 땅에는 이보다 조금 큰 동그란 마당이 기단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비나 눈이 올 때 처마에서 떨어지는 낙숫물이 이곳에 모여 부엌이나 다른 곳으로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안채의 가구는 기둥 위에 대들보를 건너지르고 4개의 도리를 얹어 구성한 평사량(平四梁)을 구성하고 있다. 이는 경기도 지역에서 많이 보이는 가구구조로, 용마루를 만들지 않아도 되는 초가지붕에 주로 사용된다. 밤나무를 재료로 한 기둥에는 도끼와 자귀로 거칠게 다듬은 흔적이 보이고, 지붕에 올린 서까래도 불규칙한 배열을 하고 있어 서민 가옥의 단순하면서도 소박한 면모를 볼 수 있다.
his house, located in the new city of Ilsan, gained its name from the fact that it was built using chestnut trees, which were common in the area at the time. Chestnut trees were not only used in main structures such as pillars, beams, and rafters, but also were used for exterior decorations such as wall lines, windows and doors. It is estimated that the cottage was built before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ith the garden at the center, the inverted ‘ㄱ’ shaped anchae (main house) in the south is connected to a ‘ㅡ’ shaped building in the north by a wall, and is arranged under a thatched roof as if forming a coil. There is a circular hole letting in the sky, with a slightly larger circular garden below the stereobate. This is to prevent the falling water from the eaves from collecting here and overflowing into the kitchen or other areas when it rains or snows. The structure of the main house is in the form of pyeongsaryang, which is composed by crossing beams over the columns and placing 4 purlins over them. This is a structure that is often seen around the Gyeonggi region, and is typically used in houses with thatched roofs where ridges are not needed. The chestnut columns have traces of having been trimmed roughly with an axe or hatchet, and the rafters on the roof are also arranged irregularly, allowing us to see the simple and humble elements of a commoner’s house.
位于一山新城的这间房屋是过去采用当地常见的栗树建盖的,故得此名。除了主要构造物——柱子、梁、椽之外,墙线、窗户等装修材料也都采用了栗树。建立年代大概是19世纪前期以前。该房屋以中间院子为中心,南边“ㄱ”字形正房和北边的“一”字形建筑物用围墙连接着,并盘卧在草房屋顶下。草房屋顶中央能看到一个圆孔,在地面基坛下有较之更大的圆形院子,这是为了防止雨雪天从屋檐滴落的檐水汇集在这里并流向厨房或其他地方。正房的梁横穿柱子,并放上4个小横梁,构成了平四梁结构。这是京畿地区常见的房屋结构,一般用于不需制作房脊的草房。以栗树为材料的柱子上有用斧头和锛子粗略修整的痕迹,放在屋顶上的椽也排列得没有规律,体现了庶民房屋简单而朴素的面貌。
イルサン(一山)新都市に位置するこの家屋は、昔この地域に散在した栗(パム)の木を使って家を建てたことからその名が付けられた。主な構造材である柱、大梁、垂木だけでなく、壁線、建具などの造作材も栗の木で作った。建立年代は19世紀前半より前と推定されている。この家屋は中央の庭が中心となっており、南側には逆L字型の母屋が、北側には一の字型の建物が配置され、互いが塀でつながって渦巻きの形をなしている。そしてそれらをわらの屋根が覆っている。藁屋根の中央には丸い穴があり、その穴より少し大きい丸い庭が基壇の下に作られているが、これは雨や雪が降ったときに軒から落ちる雨垂れがここに集まり、台所などほかのところへ流れ込まないようにするためだ。母屋は柱の上に大梁を架けて4つの桁を置いた、平四梁の構造をしている。これはキョンギ(京畿)道地方で多く見られる架構式構造で、大棟を作らなくても済む藁屋根に主に利用される。栗の木で作った柱から斧や手斧で荒削りした痕跡が見られたり、屋根の垂木が不規則に配列されているなど、庶民の住宅ならではの単純で素朴な姿が垣間見え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