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사 靑龍寺 청룡사는 안성시 서운산에 있으며, 13세기 후반 원나라 승려인 명본국사가 처음 세운 대장암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약 100년이 지나 고려 공민왕 때 보제존자 나옹선사가 크게 다시 지은 다음 청룡사로 부르게 되었다. 공민왕 21년(1372)에 청룡사에서 간행한 능엄경(보물 제698호) 등이 전해져 당시 활발하게 불사(佛事)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 선조 30년(1597)에 정유재란이 일어나면서 절의 모든 건물이 불에 타 없어졌다. 대웅전(보물 제824호)은 선조 34년(1601)에 다시 지어진 다음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건물 앞쪽 공포에는 활짝 핀 꽃 모양 조각이 있지만 뒤쪽 공포에는 없다. 뒤쪽 공포가 훨씬 이른 시기에 조성되었고, 앞쪽 공포의 조각은 수리하면서 조각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기둥은 구불구불한 아름드리나무를 나무껍질만 벗겨 내고 본래의 나무 형태를 그대로 살려 세워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한국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대웅전 안에는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제1789호)이 모셔져 있고, 사인비구가 만든 동종(보물 제11-4호)도 있다. 또 사찰에는 높이 9m, 폭 6.5m에 달하는 청룡사 영산회괘불탱(보물 제1257호)과 청룡사 감로탱(보물 제1302호)이 있다. 이들은 대웅전과 더불어 17세기를 대표하는 문화재이다. 이 밖에도 금동관음보살좌상과 대웅전 앞에 있는 삼층 석탑 등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사찰 입구에는 사찰의 역사를 담은 사적비가 있는데, 조선 숙종 46년(1720)에 세운 것이다. 이 사적비에는 청룡사가 인조의 셋째 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인 인평대군의 원당이라고 적혀 있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에 청룡사가 왕실의 지원을 받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절 근처에서는 조선 말 남사당패가 활동하기도 했다. 이들은 절 아래 불당골에서 겨울을 보내며 기예 연습을 하고, 청룡사에서 내준 신표를 들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연희를 하며 생활했다.
청룡사는 원래 고려 원종 6년(1265) 명본국사가 세워 대장암(大藏庵)이라 불렀던 곳이다. 공민왕 13년(1364) 나옹화상이 크게 넓히면서 청룡사라 이름을 고쳤는데 청룡이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광경을 보고 지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절의 중심 법당인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다시 지은 건물로 추측한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다. 이를 다포 양식이라 하는데 밖으로 뻗쳐 나온 재료 윗몸에 연꽃과 연꽃봉오리를 화려하게 조각해 놓아 장식이 많이 섞인 조선 후기의 특징을 보인다. 기둥은 전혀 가공하지 않은 원목을 그대로 세운 것이 눈길을 끈다.
이 대웅전은 안쪽에 조선 헌종 15년(1674)에 만든 범종을 보관하고 있으며, 조선 후기의 건축 기법과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어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2014년 부터 해체보수 중에 있다.
청룡사 靑龍寺 청룡사는 안성시 서운산에 있으며, 13세기 후반 원나라 승려인 명본국사가 처음 세운 대장암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약 100년이 지나 고려 공민왕 때 보제존자 나옹선사가 크게 다시 지은 다음 청룡사로 부르게 되었다. 공민왕 21년(1372)에 청룡사에서 간행한 능엄경(보물 제698호) 등이 전해져 당시 활발하게 불사(佛事)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조선 선조 30년(1597)에 정유재란이 일어나면서 절의 모든 건물이 불에 타 없어졌다. 대웅전(보물 제824호)은 선조 34년(1601)에 다시 지어진 다음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건물 앞쪽 공포에는 활짝 핀 꽃 모양 조각이 있지만 뒤쪽 공포에는 없다. 뒤쪽 공포가 훨씬 이른 시기에 조성되었고, 앞쪽 공포의 조각은 수리하면서 조각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기둥은 구불구불한 아름드리나무를 나무껍질만 벗겨 내고 본래의 나무 형태를 그대로 살려 세워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한국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대웅전 안에는 안성 청룡사 소조석가여래삼존상(보물 제1789호)이 모셔져 있고, 사인비구가 만든 동종(보물 제11-4호)도 있다. 또 사찰에는 높이 9m, 폭 6.5m에 달하는 청룡사 영산회괘불탱(보물 제1257호)과 청룡사 감로탱(보물 제1302호)이 있다. 이들은 대웅전과 더불어 17세기를 대표하는 문화재이다. 이 밖에도 금동관음보살좌상과 대웅전 앞에 있는 삼층 석탑 등도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사찰 입구에는 사찰의 역사를 담은 사적비가 있는데, 조선 숙종 46년(1720)에 세운 것이다. 이 사적비에는 청룡사가 인조의 셋째 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인 인평대군의 원당이라고 적혀 있다. 이를 통해 조선 후기에 청룡사가 왕실의 지원을 받아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절 근처에서는 조선 말 남사당패가 활동하기도 했다. 이들은 절 아래 불당골에서 겨울을 보내며 기예 연습을 하고, 청룡사에서 내준 신표를 들고 전국을 돌아다니며 연희를 하며 생활했다.
청룡사는 원래 고려 원종 6년(1265) 명본국사가 세워 대장암(大藏庵)이라 불렀던 곳이다. 공민왕 13년(1364) 나옹화상이 크게 넓히면서 청룡사라 이름을 고쳤는데 청룡이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광경을 보고 지었다는 전설이 전한다.
절의 중심 법당인 대웅전은 조선 후기에 다시 지은 건물로 추측한다. 규모는 앞면 3칸·옆면 4칸이며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을 한 팔작지붕이다.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와 기둥 사이에도 있다. 이를 다포 양식이라 하는데 밖으로 뻗쳐 나온 재료 윗몸에 연꽃과 연꽃봉오리를 화려하게 조각해 놓아 장식이 많이 섞인 조선 후기의 특징을 보인다. 기둥은 전혀 가공하지 않은 원목을 그대로 세운 것이 눈길을 끈다.
이 대웅전은 안쪽에 조선 헌종 15년(1674)에 만든 범종을 보관하고 있으며, 조선 후기의 건축 기법과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어 건축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2014년 부터 해체보수 중에 있다.
When it was first built by State Preceptor Myeongbon in the sixth year of the reign of King Wonjong (1265) of Goryeo, Cheongnyongsa Temple was only a small hermitage named Daejangam. The hermitage was expanded and renamed Cheongnyongsa by Buddhist Monk Naong in the 13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ongmin (1364) of Goryeo. Legend has it that Naong renovated the temple after he saw a blue dragon, shrouded in clouds, descending from heaven. Daeungjeon Hall is presumed to have been reconstruct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hall comprises 3-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front space and 4-kan side space, and it has a hip and gable roof called paljakjibung. Multi-cluster brackets are placed not only on the column tops but also on the outer tie beams between the columns. This building style is known as dapo style. Brackets are elaborately engraved with lotus flower and bud designs, representing a typical feature of late Joseon architecture. Interestingly, however, columns are not adorned at all. Inside the hall a Buddhist temple bell, cast in the 1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Heonjong (1674), is preserved. The inner ceiling is latticed.
青龙寺由明本国师于高丽元宗6年(1265)始创,当时称大藏庵。恭愍王13年(1364)懒翁和尚扩建时改名为青龙寺。传说青龙寺是看到青龙踏云飞下的景象后建造的。大雄殿内保管着朝鲜宪宗15年(1674)制作的梵钟,充分展现了朝鲜后期的建筑手法和特征,是研究建筑史的重要资料。
青龍寺は、本来高麗元宗6年(1265)に明本国師が建て、大蔵庵と呼んだ寺である。恭愍王13年(1364)に懶翁和尚が大きく拡張させ、青龍が雲に乗って下りてくる光景を見て、青龍寺と名前を変えたという伝説が伝えられる。この大雄殿には、朝鮮憲宗15年(1674)に作った梵鐘を保管されており、朝鮮末期の建築技法と特徴をよく見せているため、建築史研究の重要な資料になっている。
청룡사 대웅전 동쪽 문
청룡사 대웅전 후면 공포와 처마
청룡사 대웅전 내부1
청룡사 대웅전 내부2
청룡사대웅전
청룡사대웅전
청룡사대웅전
내부가구와연등천정
전면과기단
내관
안성 청룡사 대웅전_감로탱1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감로탱2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금동관음보살좌상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기둥부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내부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배면 전경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소조석가여래삼존상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우 기둥부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우 출입구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우측면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전경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좌측면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출입구와 댓돌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측면 전경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현판1 (촬영년도 : 2015년)
안성 청룡사 대웅전_현판2 (촬영년도 : 2015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평면도2(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평면도1(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평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층량/퇴량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추녀/사래 상세도/처마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청용사 배치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청룡사 주변 배치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청룡사 대웅전 중심측에서 본 종단면(동-서)/횡단면(북-남)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청룡사 가람 배치 평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처마 정면/배면/북측면/남측면 앙곡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처마 안허리 정면/배면/북측면/남측면 곡선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창호/문고리/돌쩌귀 /울거미,살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창호 일람표/교체부재 일람표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지붕평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상포 외/내부6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상포 외/내부5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상포 앙시도4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상포 앙시도3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상포 단면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상포 단면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두(평주/우주/동자주/고주) 정면/앙시/평면/단면 상세도/출목첨차/주심첨차 대,소첨차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간포 외/내부6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간포 외/내부5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간포 앙시도4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간포 앙시도3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간포 단면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주간포 단면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좌측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좌측계단/우측계단 정면/단면/입면 상세/기단 단면도 정면/남측면/배면/북측면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종보/중종보/대보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종보/중종보 보아지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종단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종단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정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정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우측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앙시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앙시 및 와복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암막새/숫막새(신와/구와)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횡단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현판,대공,화반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합각부,철물,목기연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합각,추녀마루 곡선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평면도2(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평면도1(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초석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초석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청룡사 가람 지형 단면 전개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청룡사 가람 배치 평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처마,추녀,사래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처마 앙곡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처마 안허리 곡선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창호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창호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지붕 평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상포 입면도6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상포 입면도5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상포 앙시도4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상포 앙시도3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상포 단면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상포 단면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두,첨차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간포 입면도6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간포 입면도5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간포 앙시도4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간포 앙시도3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간포 단면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주간포 단면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종보,중종보 보아지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종단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정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앙시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소로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불단 실측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북측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보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보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배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닫집 측면도, 닫집 주두,소로,첨차 원척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닫집 정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닫집 앙시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닫집 단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남측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와(종단면),용마루 곡선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와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와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둥 상세도4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둥 상세도3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둥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둥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둥 변위 및 귀솟음 실측도, 평방 변위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단,계단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기단,계단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귀공포 외부 입면도4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귀공포 외부 입면도3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귀공포 앙시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귀공포 앙시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공포 입면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공포 입면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고주 상부가구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실측도 고주 상부가구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숫기와/암기와(신와/구와)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소로(평이갈/외옆갈/양옆갈/외옆갈알통보강/양옆갈알통보강/사갈,이갈,접시 소로) 평면/앙시/입면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불단 평면/정면/단면/좌측면 실측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북측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북측면,남측면 합각/추녀마루 곡선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북,남측면 합각부/방환,지네철철물/북측면,졸대,남측면 목기연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배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배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막새 실측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닫집 측면도 /귀포주두,간포주두 평면,입면,앙시/소로/첨차 상세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닫집 정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닫집 앙시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닫집 단면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남측면도(현황)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기와 곡선도(종단면)/용마루 곡선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기둥 변위 및 귀솟음 실측도 평방 변위도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귀공포 외부 입면도4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귀공포 외부 입면도3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귀공포 앙시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귀공포 앙시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공포 정면/배면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공포 북측면/남측면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고주 상부가구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고주 상부가구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계단/기단 정면/북측면/남측면/배면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9~19 초석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7~12 기둥 상세도2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15/16 기둥 상세도4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13/14/17~19 기둥 상세도3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1~8 초석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1~6 기둥 상세도1
도면_보물_안성 청룡사 대웅전_1~5 창호 상세도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