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스캔영상

창닫기

경주 양동마을 이향정 고택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관련문화재, 3D분류, 파일유형, 출처, 파일사이즈, 제작일, 공공누리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관련 문화재 경주 양동마을 이향정 고택
3D 분류 목조건축
파일유형 MP4
사업명 2016년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D-기록자원 DB구축 용역
파일용량 40.9MB
제작연도 2016
공공누리 공공누리 - 공공제작물 자유이용허락
자막
국가민속문화재 제79호 양동 이향정

- 본 영상은 3차원 광대역 스캐닝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한 영상입니다.

- 양동마을은 월성 손씨와 여강 이씨의 동족마을로, 넓은 안강평양에 오랜 전통을 지닌 여러 집들을 잘 보존하고 있는 곳입니다.

- 이집은 온양군수를 지낸 이향정(李香亭) 이범중 선생이 살던 곳으로 집 이름은 그의 호를 따서 지은 것입니다.

- 조선 숙종 21년(1695)에 지었다고 하여 양동 마을 안골로 들어가는 동구 첫 어귀에 남향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 전체적으로 튼 ‘ㅁ’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크게 안채, 사랑채, 아래채, 방앗간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특히, 사랑큰방 뒤로 부엌과 툇마루가 있는 서재를 꾸며 기능의 변화를 꾀하고 있으며 마루는 亞자형 난간을 둘러 누마루의 분위기를 느끼게 합니다.

- 안채는 서쪽 끝에 부엌을 두고 오른쪽에 안방, 대청, 건넌방이, 왼쪽에 광과 아랫방이 있습니다.

- 사랑채는 앞면 6칸·옆면 1칸 반 크기로 가운데 2칸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방을 두었습니다.

- 방과 대청 앞뒤로 반칸 툇마루를 설치하였으며 방 배치양식은 이 지역의 일반적인 구성과 같으며, 안채 부엌 뒤편으로는 방앗간채가 있습니다.

- 아래채는 앞면 6칸·옆면 1칸 크기로 가운데 헛간을 두고 양 옆에는 광을 두었습니다.

- 건물의 배치 양식은 기본 구성을 대체로 잘 따르고 있으나 쓰임에 따른 변화를 적당히 겸하고 있어 좋은 민가 건축·민속학의 연구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국가민속문화재 제79호 양동 이향정
문화재청
  • 콘텐츠명칭은 제작 당시의 제목 및 정보이며, 현재의 명칭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공공누리관련 자료 제공 및 활용시 문화재청(소관부서)에 추가 확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