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스캔영상

창닫기

경주 양동 관가정
해당 문화재의 정보입니다. 관련문화재, 3D분류, 파일유형, 출처, 파일사이즈, 제작일, 공공누리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관련 문화재 경주 양동 관가정
3D 분류 목조건축
파일유형 MP4
사업명 2014년 문화유산 디지털세트 3차원 DB구축
파일용량 44.3MB
제작연도 2014
공공누리 공공누리 - 공공제작물 자유이용허락
자막
보물 제 442호 경주 양동 관가정

- 본 영상은 3차원 광대역 스캐닝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한 영상입니다.

- <<경북 지방 고문서 집성>> 에 따르면 원래 양동에는 고려 말 여강 이씨 이광호(李光浩)가 처음 정착하여 손자 사위인 풍덕 류씨 류복하(柳復河)가 처가를 따라 이곳에 왔다,

- 이어 조선 세조 때 경주(월성) 손씨 손소(孫昭, 1433-1484)가 류복하의 무남독녀에게 장가들어 처가의 재산을 상속받으면서 이곳에 뿌리를 내리게 되었다.

- 그 후 이광호의 5대 종손인 이번(李蕃)이 손소의 외동딸에게 장가들어 양동에 뿌리를 내리면서 이 마을은 손씨와 이씨의 집성촌을 이루게 되었다고 한다.

- 관가정은 손씨 집안의 둘째아들인 우재 손중돈(1463~1529)이 분가하면서 1480년대 지은 건물이다.

- ‘곡식이 자라는 모습을 보듯이 자손들이 커 가는 모습을 본다’는 뜻을 담고 있으며, 마을과 형산강은 물론이고 근처의 들판과 산까지 훤히 내려다볼 수 있는 곳에 자리하고 있다.

- 보통 대문은 행랑채와 연결되지만, 관가정은 특이하게 사랑채와 연결되어 있다.

- 사랑채는 남자주인이 생활하면서 손님들을 맞이하는 공간으로, 대문의 왼쪽에 사랑방과 마루가 있다. 마루는 앞면이 트여있는 누마루로 ‘관가정(觀稼亭)’ 현판이 걸려있다.

- 사랑대청을 확대하기 위하여 뒤편으로 툇보를 이어 대청 공간을 넓혔으며, 전면 좌측 벽은 판벽에 바라지창을 두고 1/3 넓이의 뒷 칸은 판벽으로 마감하였다.

- 아담한 마당을 가운데에 두고 사랑채와 안채가 ‘ㅁ’자형을 이루고 있다. 남쪽에는 사랑채, 나머지는 안채로 구성되어 있다.

- 안채는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의 대청과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로 네 칸을 붙여 두 칸의 상방과 안방을 두었다.

- 대청의 대들보는 위쪽으로 휜 자연목을 이용하고 보 위에 작은 포대공을 놓아 종도리를 받는 4량의 가구 구조를 보이고 있다.
- 사랑대청의 전면과 서측면 툇마루에 계자난간을 돌려 격을 높였다.

- 안채의 동북쪽에는 사당을 배치하여 담장으로 양쪽 측면과 뒷면을 둘러막아 주택의 앞쪽을 탁 트이게 하여 낮은 지대의 경관을 바라보게 하였다.

- 사당은 따로 둘러막은 담장 속에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전면에 반칸의 퇴(退)를 달아낸 모양으로 된 일자형 평면을 이루고 있다.

- 사당은 누마루와 같이 원기둥을 사용하였으며, 채색된 단청을 통해 건물의 격을 높였음을 알 수 있다.

- 안채와 사랑채의 지붕은 하나로 연결되고, 서로 모이는 부분에는 합각을 만든 맞배지붕을 이루고 있다.

- 관가정은 조선 중기 남부지방의 주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이다.

보물 제 442호 경주 양동 관가정 문화재청
  • 콘텐츠명칭은 제작 당시의 제목 및 정보이며, 현재의 명칭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공공누리관련 자료 제공 및 활용시 문화재청(소관부서)에 추가 확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