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등재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한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본문

한국의 인류무형문화유산

  • 인쇄

매사냥

  • 동영상보기
매사냥

매사냥은 야생 상태에서 사냥을 위해 매를 사육하고 조련하는 전통적인 활동이다. 아시아에서 발원하여 무역과 문화교류를 통해 다른 지역으로 확산됐으며, 과거에 매사냥은 식량 확보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자연과의 융화를 추구하는 야외활동을 자리매김 했으며 60개 이상 국가에서 전승되고 있다.

매는 한로(寒露)동지(冬至) 사이에 잡아서 길들인 후 겨울 동안 사냥에 나간다. 겨울이 되면 야산에 매 그물을 쳐서 매를 잡는데, 처음 잡은 매는 야성이 강하여 매섭게 날뛰기 때문에 숙달된 봉받이가 길들이기를 한다. 매를 길들이기 위해서 방안에 가두어 키우는데, 이를 ‘매방’이라고 한다. 매를 길들이는 매 주인은 매방에서 매와 함께 지내며 매와 친근해지도록 한다. 매사냥은 개인이 아니라 팀을 이루어서 하며, 꿩을 몰아주는 몰이꾼(털이꾼), 매를 다루는 봉받이, 매가 날아가는 방향을 봐주는 배꾼으로 구성되고 있다. ‘시치미 떼다’라는 속담도 매사냥에서 나왔는데, 매 주인이 자신의 매임을 표시하기 위해 붙이는 이름표(소뿔을 갈아 길이 5㎝ 정도의 조각에 이름을 새김)를 ‘시치미’라고 한다.

매사냥꾼들의 문화적 배경은 다양하지만, 이들은 보편적인 가치와 전통, 관습을 공유하고 있다. 매사냥은 멘토링, 가족 내 학습, 공식적인 훈련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하나의 문화적 전통으로 세대를 이어 전승되고 있다.

매사냥은 2000년 대전, 2007년 전북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전승되고 있으며,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11개국이 참여하여 공동등재’ 되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