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설명
높이 4.3m로 미평리 마을 안에 모셔져 있는 석불상이다. 돌기둥 같은 신체에 머리에는 원형에 가까운 보개(寶蓋 ; 인도에서 귀인의 외출시에 사용하던 양산을 불상의 머리 위에 갓처럼 씌운 것)를 쓰고 있다. 발목 이하는 땅에 묻혀 있으며 불상 앞에는 자연석의 넓은 돌을 두어 불단으로 이용하고 있다. 민머리에 얕은 육계(肉髻; 상투 모양으로 솟은 붓다의 정수리, 붓다의 지혜를 상징)가 있고, 이마 중앙에는 백호(白毫; 흰 터럭이 말린 것으로 이곳에서 빛이 나온다고 함)가 표현되었다. 양 어깨에 걸쳐져 내려오는 법의는 가슴에서 넓은 ‘U’자형의 주름을 형성하면서 신체 하부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오른손은 손등을 바깥으로 하여 가슴 부근에 놓여 있으며, 왼손에는 정병(淨甁)을 들고 있다.
돌기둥 같은 신체에 옷 주름을 간략하게 표현하고, 머리 위에 보개를 얹는 등 고려 시대 전기에 충청도와 경기 남부를 중심으로 유행한 불상 양식의 계보를 잇고 있는 석불상이다. 여기에 얼굴과 신체에 양감 표현이 거의 없고, 가로로 긴 눈, 두툼한 코, 일자로 다문 입, 크기에 비해 빈약하게 처리된 두 팔과 손의 표현 등에서 지방 양식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머리의 갓과 밋밋한 신체에 간략한 옷 주름과 양 손의 표현, 그리고 왼손에 들고 있는 보병 등에서 안성 대농리 석불입상과 매우 유사하여 이 지역에서 유행한 불상 양식을 전해주는 것으로 파악된다.
This stone Buddha enshrined in the Mipyeong-ri area stands at a height of 4.3 m. The statue has a stone pillar-like body and is wearing a bogae (parasol used by noblemen in India when going on an outing and placed over the head of the Buddhist statues like a hat) on its round head. Below part below the ankle is buried in ground, and a wide natural stone is placed in front of the statue for use as a Buddhist altar. The shaved head is topped with a yukgye (topknot symbolizing the wisdom of Buddha), and baekho (curled white hair that emits light) graces the center of the forehead. The figure’s Buddhist robe hangs over its shoulders and droops down around the body, forming a wide U-shape fold at the chest. The right hand is placed near the chest with the back of the hand facing out, and the left hand is holding a jeongbyeong (water bottle).
Many of the statue’s characteristics—such as its stone, pillar-like body, the simplified folds of fabric, and the bogae on the head—reflect the Buddhist statue style that was popular in Chungcheong-do and southern parts of Gyeonggi-do in the Early Goryeo Period. The relative lack of volume on the face and body, the horizontally long eyes, thick nose, straight closed lips, and relatively weak arms and hands also reflect the local artistic style. In particular, the gat (traditional hat) on the figure’s head, flat body, simplified drapery, expression of the hands, and the bobyeong (water bottle) held in the left hand are all quite similar to the Stone Standing Buddha of Daenong-ri, Anseong. These similarities lead us to assume that the statue is representative of the Buddhist statue style that was popular in the region.
该佛像高4.3米,是供奉于弥坪里村落内的石造佛像。佛身形如圆形石柱,头戴圆宝盖(将印度贵人外出时所用的阳伞放在佛像的头上,形如纱帽)。脚踝以下部分被埋于地下,佛像前置有宽大的天然石作为佛坛使用。佛像的光头上隆起肉髻(佛陀头顶上隆起的肉丛,象征智慧),额头中间饰有白毫(白色卷发,会发出佛光)。披在双肩上的法衣自然垂落,在胸前形成“U”字形衣褶,衣褶垂落至身体下方。右手手背朝外,置于胸膛,左手手握净瓶。
从石柱般的身体、简单的衣褶、头顶上的宝盖等表现形式来看,该佛像继承了高丽时代前期以忠清道和京畿南部为中心流行的佛像风格。面庞和身体几乎未表现出量感,细长的眼睛,厚鼻,紧闭成一字形的嘴,相比大小略显柔弱的双臂和双手等,可以看出这是一座反映地方佛像特点的作品。尤其是头顶上的纱帽和扁平的身体,简单的衣褶和手势,左手握着宝瓶的形态,与安城大农里石佛立像十分相似,展现着曾流行于该地区的佛像风格。
高さ4.3mで、ミピョン(弥坪)里の集落に祀られている石仏。石柱のような身体に、頭には円形に近い宝蓋(インドで貴人が外出する時に使った日傘を仏像の頭上に笠のようにかぶせたもの)をかぶっている。足首の下は地面に埋まっており、仏像の前には自然石の大きな石を置いて仏壇として使っている。頭には螺髪がなく、浅い肉髻(髷の形に尖った釈迦の頭頂部。知恵を象徴する)があり、額の中央には白毫(白い毛が丸まってもので、ここから光を発するという)が表現されている。両肩から垂れ下がっている法衣は、胸から広いU字型のしわを形成し、身体の下部にまでつながっている。右手は手の甲を外側にして胸の付近に置かれており、左手には浄瓶を持っている。
体は石柱のような姿。衣のひだは簡略化され、頭の上には宝蓋を載せている。高麗時代前期にチュンチョン(忠清)道とキョンギ(京畿)南部を中心に流行した仏像様式の伝統を引き継ぐ仏像だ。さらに、顔や身体に量感の表現がほとんどなく、横長の目、大きめの鼻、真一文字に結んだ口、大きさのわりに貧弱に処理された両腕や手の表現などから、地方の様式を反映しているものと把握される。とくに頭の笠とのっぺりした身体に簡潔な衣のひだと両手の表現、そして左手に持っている宝瓶などがアンソン(安城)テノン(大農)里石仏立像と非常に類似しており、この地域で流行した仏像様式を引き継ぐものと思われ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