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위사는 신라 진평왕 39년(617)에 원효대사가 관음사라는 이름으로 처음 지은 절로,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공사가 진행되면서 이름도 무위사로 바뀌게 되었다.
이 절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인 극락보전은 세종 12년(1430)에 지었으며, 앞면 3칸·옆면 3칸 크기이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사람 인(人)자 모양인 맞배지붕으로,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짜은 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으며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조각이 매우 세련된 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극락보전 안에는 아미타삼존불과 29점의 벽화가 있었지만, 지금은 불상 뒤에 큰 그림 하나만 남아 있고 나머지 28점은 전시관에 보관하고 있다. 이 벽화들에는 전설이 전하는데, 극락전이 완성되고 난 뒤 한 노인이 나타나서는 49일 동안 이 법당 안을 들여보지 말라고 당부한 뒤에 법당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49일째 되는 날, 절의 주지스님이 약속을 어기고 문에 구멍을 뚫고 몰래 들여다 보자, 마지막 그림인 관음보살의 눈동자를 그리고 있던 한 마리의 파랑새가 입에 붓을 물고는 어디론가 날아가 버렸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지금도 그림속 관음보살의 눈동자가 없다.
이 건물은 곡선재료를 많이 쓰던 고려 후기의 건축에 비해, 직선재료를 사용하여 간결하면서 짜임새의 균형을 잘 이루고 있어 조선 초기의 양식을 뛰어나게 갖추고 있는 건물로 주목 받고 있다.
Muwisa Temple was built by the renowned Buddhist monk Wonhyo in 617 (the 3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inpyeong of the Silla Dynasty) under the name of Gwaneumsa Temple. However, it was repaired and rebuilt on a number of occasions, and was renamed as Muwisa. Geungnakbojeon Hall, the oldest building of Muswisa Temple, was built in 1430 (the 12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jong of the Joseon Dynasty), and measures three kan (a unit of measurement referr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columns) at the front and three kan at the sides. The hall features a gabled roof, with eaves bracketed on supporting pillars that are round and thicker in the middle than at the ends. The elaborately-carved bracket arms show a high degree of refinement.
The temple’s Amitabha Buddha Triad used to be enshrined in Geungnakbojeon Hall along with twenty-nine mural paintings. Today, however, only one of the twenty-nine paintings remains there, while the rest are kept in the nearby exhibition hall.
According to a legend about the paintings, upon the completion of Geungnakbojeon Hall, an old man entered the hall, and requested that no one look inside it for forty-nine days. On the forty-ninth day, however, the head monk of the temple broke the promise and looked inside the hall. At that moment, a blue bird painting the eyes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flew away in surprise with the brush in her bill. Maybe that is why the eyes of the Avalokitesvara Bodhisattva in the painting have no pupils.
While curved beams were the preferred form in temple buildings of the Goryeo Period, most of the beams and girders in this hall are straight, achieving the balanced simplicity characteristic of the early Joseon Period.
无为寺是新罗真平王39年(617)元晓大师以观音寺为名初次建造的寺庙,在进行多次翻修工程的同时名字也变成了无为寺。这座寺庙里最古老的建筑-极乐殿建于世宗12年(1430),面阔3间·进深3间的规模。屋顶从侧面看是人字型的复折式屋顶,为了支撑屋顶屋檐进行装饰组合的结构只在基柱上,简洁美丽的雕刻体现出了非常简练的技法。比起主要采用曲线材料的高丽后期建筑,这座建筑采用了直线材料,简洁的同时很好地保持了均衡的结构,作为朝鲜初期样式的优秀建筑物而格外引人注目。
康津無為寺は新羅真平王39年(617)に元暁大師が観音寺という名前で初めて建てた寺で、数回にわたって補修工事が進行する中、名前も無為寺に変わった。この寺で一番古い建物である極楽宝殿は世宗12年(1430)に建てられ、前面3間•側面3間の大きさである。屋根は側面から見ると、人の字型をした切妻屋根で屋根の軒を支えるために装飾し組まれた構造が柱の上部だけにあり、簡潔で美しい彫刻が非常に洗練された技法を表現している。この建物は曲線材料を多く使った高麗後期の建築に比べて、直線材料を使って簡潔でありながらも形の均衡をよく保っており、朝鮮初期の様式の優れたところを揃えている建物として注目されてい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