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문화재자료 제36호
이시직공정려각 (李時稷公旌閭閣)분 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인물기념 / 사우 |
---|---|
수량/면적 | 1동 |
지정(등록)일 | 1994.06.07 |
소 재 지 | 대전 대덕구 송촌동 179번지 |
시 대 | 조선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
관리자(관리단체) | 연안이씨죽창공파종중 |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조선 중기 문신인 죽창 이시직(1572∼1637)의 충절과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이다.
이시직은 인조 2년(1624) 문과에 급제하여, 같은 해 이괄의 난이 터지자 인조임금을 모시고 공주까지 수행하였다. 그 뒤 성균관전적, 사헌부장령, 봉상시정 등의 벼슬을 지냈다. 인조 13년(1636)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로 들어갔다가 강화가 함락되자 하인에게 자기를 매장하도록 부탁한 후 목을 매어 자결했다. 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나라에서 ‘충목(忠穆)’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앞면 1칸·옆면 1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정려각 4면에는 화살 모양의 홍살을 돌렸고, 안에는 이시직의 공덕이 적힌 현판과 건물을 수리한 기록이 걸려 있다.
조선 중기 문신인 죽창 이시직(1572∼1637)의 충절과 공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정려각이다.
이시직은 인조 2년(1624) 문과에 급제하여, 같은 해 이괄의 난이 터지자 인조임금을 모시고 공주까지 수행하였다. 그 뒤 성균관전적, 사헌부장령, 봉상시정 등의 벼슬을 지냈다. 인조 13년(1636)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로 들어갔다가 강화가 함락되자 하인에게 자기를 매장하도록 부탁한 후 목을 매어 자결했다. 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나라에서 ‘충목(忠穆)’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앞면 1칸·옆면 1칸 규모이며, 지붕은 옆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정려각 4면에는 화살 모양의 홍살을 돌렸고, 안에는 이시직의 공덕이 적힌 현판과 건물을 수리한 기록이 걸려 있다.
내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