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는 각 지자체 담당부서에서 문화재정보를 입력·수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상 세 문 의 : 경기도 포천시 문화체육과 031-538-2106
한성기 백제의 지방 마을 유적으로 북쪽 배후의 왕방산 줄기와 남쪽의 한탄강 지류인 포천천 사이 충적지에 위치한다. 세 차례의 시굴 및 발굴 조사에서 집자리 27기, 작은 구덩이 89기, 도랑 11기, 지상식 건물지 2기 등이 조사되었다. 집자리는 대부분 남쪽에 돌출된 출입 시설이 있는 ‘凸’ 또는 ‘呂’ 모양의 반움집이지만, 거주 공간은 육각형 모습이다. 규모는 다양한데, 경기도박물관이 조사한 2호 집자리는 길이가 23.6m에 이르며, 기와와 철제 못과 같은 건축 부재가 사용된 점에서 이 마을의 최상위 계층 인물이 거주했던 것으로 보인다. 집자리 내부에서는 난방 시설인 외줄구들과 기둥 구멍, 벽체 기초 시설이 확인되었다.
집자리에서는 경질무문토기와 함께 백제 중앙 양식의 토기 기종들이 출토되었는데, 특히 집자리에서 출토된 중국 동진(東晉) 시기의 청자편은 백제 중앙을 경유하여 입수된 것으로 자작리 거점 마을과 백제 중앙과의 관계를 보여준다. 또한 다량의 철기 외에 철제 슬래그와 덩이쇠가 출토되어 마을에서 자체적으로 철기를 생산, 소비했던 것으로 보인다.
집자리의 평면 형태와 출토 유물을 참고할 때, 자작리 거점 마을은 4~5세기에 조성되었으며, 유례가 없는 대형 집자리와 수입 청자편으로 볼 때, 이 지역 일대의 정치적 거점이라 판단된다.
The Historic Site of Jajak-ri is a village from the Baekje Period located on alluvial land between the Wangbangsan Mountain Range at the north and Pocheoncheon Stream, a tributary of Hantangang River, to the south. Through three separate prospecting and excavation digs, 27 dwelling sites, 89 small pits, 11 ditches and two ground building sites were confirmed. The dwelling sites are mostly semi-pit houses in the shape of “凸” or “呂”, with a protruded area at the south for entrance and exit and a hexagonal residential space. The sizes vary. Dwelling site no. 2, which was searched by Gyeonggi Province Museum, has a length of 23.6m and used roof tiles and iron nails as building materials, leading to the assumption that it was the house of an important figure in the village. Inside the dwelling site, an oejulgudeul (single line floor heating system), pillar holes and basic facility for the wall structure were confirmed.
In addition to some hard pattern-less pottery, earthenware in the style of central Baekje were excavated from the dwelling site. In particular, the celadon fragments from the East Jin Dynasty excavated from the dwelling site were obtained through central Baekje,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e village of Jajak-ri and central Baekje. In addition to a large amount of ironware, iron slag and iron plates were also found, which seems to indicate that the village produced its own ironware.
Considering the plane form of the dwelling site and the excavated artifacts, the base village of Jajak-ri was formed in the 4th-5th century, and judging from the unprecedented large dwelling site and imported celadon fragments, it appears to have been the political base of the region.
自作里遗址是百济汉城期地方村落遗址,位于北部腹地王方山主干和南部汉滩江支流抱川川之间的冲击地带。经三次试掘和挖掘调查后,在该遗址中共发现了27个房屋遗址、89座小窖、11处水渠、2座地上建筑。房屋形态属半竖穴式住居,南面设有“凸”形或“吕”形出入口,但居住空间采用六角形结构。房屋规模多样,由京畿道博物馆调查的2号房屋遗址,长23.6米,建筑材料包括瓦和铁钉等,推断居住于此地的主人应为高权力阶层。房屋遗址内部还发现了用于供暖的单线暖炕和柱洞、墙体基础设施。
房屋遗址中还出土了硬质无纹土器和百济中央样式的土器类型,尤其是房屋遗址中出土的中国东晋时期青瓷片应为经由百济中央而获取,可以窥见自作里据点村落和百济中央的关系。同时,除了大量铁器之外,还出土了铁矿渣和铁铤,可以判断该村落自主生产和消费了各种铁器。
从房屋遗址的平面形态和出土文物推算,自作里据点村落形成于4到5世纪。同时,根据庞大的房屋遗址规模和进口青瓷片推断,这一带区域应该是当时的政治据点。
チャジャク(自作)里遺跡は漢城百済時代の地方村の遺跡で、北側背後のワンバン山の山並みと、南側のハンタン(漢灘江)支流であるポチョンチョン(抱川川)の間にある沖積地に位置する。3回の試掘・発掘調査で住居跡27基、小さな穴89基、溝11基、地上式建物跡2基などが調査された。住居跡はほとんどが南側に突出型の出入口がある「凸」形の竪穴だが、居住空間は六角形である。規模はさまざまで、京畿道博物館が調査した2号住居跡は長さが23.6mに達し、瓦や鉄製釘のような建築部材が使われた点から、この村の最上位階層の人物が居住していたものと推定される。住居跡の内部からは暖房のための単線オンドルと柱の穴、壁の基礎施設が確認された
住居跡からは硬質無文土器とともに百済中央様式の土器器種が出土したが、特に住居跡から出土した中国東晋時代の青磁片は百済の中央を経由して入手されたもので、チャジャク(自作)里の拠点村と百済中央との関係を示している。また、多量の鉄器の他に鉄製スラグと鉄の塊が出土し、村で自主的に鉄器を生産・消費していたものと考えられる。
住居跡の平面形態と出土遺物を鑑みるに、チャジャク(自作)里拠点村は4~5世紀に成立したものであろう。また、類例のない大型住居跡と輸入青磁片からは、この地域一帯の政治的拠点だと考えられ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