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는 각 지자체 담당부서에서 문화재정보를 입력·수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상 세 문 의 : 경기도 파주시 문화예술과 031-940-5831
파주시 적성면 주월리에 있다. 이곳은 임진강이 사행 곡류하여 북쪽으로 돌출해 있는 만곡부다. 이곳에서는 임진강의 주요 도하지점인 가여울과 두지나루를 조망할 수 있다. 육계토성은 임진강 남안 충적대지 위에 축조된 평지토성이다. 둘레는 1,828m로 대규모에 속한다. 평면형태는 동북-서남쪽을 장축으로 하는 장타원형이다. 성벽은 발굴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정확한 축성법을 알 수는 없다. 다만 정교하게 다짐한 토층이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성토다짐하여 쌓은 것으로 보인다. 성벽 시설물로는 동문지와 남문지, 서문지와 북동회절부와 남동회절부의 망대지, 우물지, 수구지 등으로 추정되는 곳이 있다. 성안에서는 구석기를 비롯하여 빗살무늬토기편, 무문토기편, 삼국시대에서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전 시기의 유물이 채집되고 있어 이 지역의 오랜 역사성을 말해준다. 1996년 긴급 발굴조사로 성내에서 다수의 백제 수혈식 주거지가 확인되었다. 주거지 내에서 다량의 백제토기와 함께 네 개의 손잡이가 달린 고구려토기가 출토되어 주목을 받고 있다.
육계토성은 한성시기 백제의 영역과 방어체계를 알게 해주며 희소성이 있는 백제의 평지토성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유적이다.
This earthen fortification is in Juwol-ri of Jeokseong-myeon, Paju. The fortress is located on the protruding bend to the north where Imjingang River meanders. Here, you can view the Gayeoul Rapids and Dujinaru Dock, the main crossing points of Imjingang River. Yukgye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is a flat fortress constructed over the alluvial land of the southern shore of Imjingang River. Its circumference is 1,828m, which is on the large size. The plane form is a long oval shape, with a longer northeast-southwest side. The precise castle-building method is unknown, as excav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Considering that an elaborately packed soil layer has not been confirmed, it appears that the soil has been piled up and then firmly packed. As for wall facilities, sites estimated to be the east gate site, south gate site, west gate site, and watchtower sites of the diffracted part on the northeast and diffracted part on the southeast, well site and water draining facility have been discovered. Inside the castle, historic artifacts from the Three States Period up to the Joseon Period have been discovered, including paleolithic stone implements, comb-pattern pottery and pattern-less earthenware, testifying to the long history of the region. In an emergency excavation that took place in 1996, the presence of a number of Baekje pit residences inside the castle was confirmed. In these residences, large amounts of Baekje earthenware and a Goguryeo earthenware with four handles were discovered, drawing attention.
Yukgyetoseong Earthen Fortification is an important historic site in that it sheds light on the territory and defense system of Baekje, and is a rare example of a flat fortress from the Baekje Period.
坡州六溪土城位于坡州市积城面舟月里。这里是临津江以蛇形流淌向北延伸的曲流处。站在此地可以眺望临津江主要渡河地点犬滩和斗只渡口。六溪土城是筑造在临津江南岸冲积平原上的平地土城。总周长为1828米,土城规模庞大。该土城纵观东北至西南轴向,呈长椭圆形。由于尚未进行挖掘调查,还无法得知准确的筑城法。但由于尚未发现精心夯实的土层,可判断采用了夯实城土的方法。此外,还发现东门址和南门址、西门址,以及北东回折部和南东回折部的望台地、井址、水口址等类似城墙设施的遗址。在城内,还采集了旧石器和栉文土器片、无纹土器片以及从三国时代到朝鲜时代的各个时期文物,说明了该地区的悠久历史。在1996年的紧急挖掘调查中,还发现了城内的多处百济竖穴式住居址。竖穴式住居址内还出土了大量百济土器和带有四个手柄的高句丽土器,因而备受关注。
六溪土城是一处十分罕见的百济平地土城,通过该土城可以窥见汉城时期百济的领土范围和防御系统,因此是十分重要的历史遗址。
パジュ(坡州)チョクソン(積城)面チュウォル(住月)里に位置する。ここはイムジンガン(臨津江)が蛇行して北側に突き出ている湾曲部だ。ここからはイムジンガン(臨津江)の主な渡河地点であるカヨウルとトゥジナルを見渡すことができる。ユッケ(六溪)土城はイムジンガン(臨津江)南岸の沖積台地上に築造された平地土城だ。円周の長さは1,828mで、比較的規模が大きい。平面形態は東北-西南を長軸とする長楕円形である。城壁は発掘調査が行われておらず、正確な築城法は分からない。ただし、精巧に積み上げた土層が確認されていないことから、盛土で固めて積み上げたとみられる。城壁の施設としては、東門跡・南門跡・西門跡と北東回折部、南東回折部の望台跡・井戸跡・水口跡などと推定されるものがある。城内からは旧石器をはじめ櫛目文土器片、無紋土器片、三国時代から朝鮮時代まであらゆる時期の遺物が採取されており、この地域の長い歴史性を物語っている。1996年の緊急発掘調査により、城内から多数の百済竪穴式住居跡が確認された。住居跡内からは、多量の百済土器とともに、四つの取っ手が付いた高句麗土器が出土し、注目を集めている。
ユッケ(六溪)土城は漢城時代の百済の領域と防御体制が把握でき、まれに見る百済の平地土城という点で非常に重要な遺跡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