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는 각 지자체 담당부서에서 문화재정보를 입력·수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상 세 문 의 : 경기도 수원시 문화예술과 031-228-2476
청동기 시대와 원삼국 시대의 마을이 있는 유적이다. 유적은 해발 104m인 여기산 정상부와 여기에서 북서 방향으로 뻗어 내린 능선 상에 위치하는데, 유적의 서쪽 부분이 화강암 채석 공사로 많이 훼손되었다. 청동기 시대 집자리는 3기가 조사되었는데, 긴 네모꼴 형태로 추정되며, 골아가리 구멍무늬토기와 구멍무늬토기가 출토되어 청동기 시대 중기 집자리로 판단된다. 원삼국 시대 집자리는 6기가 조사되었으며, 남쪽에 돌출된 출입 시설이 있는 ‘凸’ 모양의 반움집이지만, 거주 공간은 육각형 내지 오각형 모습이다. 5호 집자리 내부에서는 ‘ㄱ’자 형태의 외줄구들이 조사되었는데, 돌로 터널 형태의 골격을 만들고 점토로 덧씌어 마감하였다.
원삼국 시대 집자리에서 출토된 토기는 경질무문토기와 타날문토기이며, 조리, 저장, 운반 등 일상 용도의 기종이다. 또한 흙으로 빚은 가락바퀴와 송풍구, 다량의 슬래그가 출토되어 방직, 철기 제작과 같은 생산 활동을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원삼국 시대 마을은 집자리의 평면 형태와 출토 유물로 보아 3세기 초 무렵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유적은 남한 지역에서 최초로 조사된 원삼국 시대 마을 유적일 뿐만 아니라, 유적에서 발견된 외줄구들과 돌출된 출입 시설이 있는 육각형 집자리는 모두 최초라는 수식어가 붙일 정도의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다.
This is the archaeological site of a village formed during the Bronze Age and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 site spreads out from Yeogisan Mountain summit, 104m above sea level, over the ridge that extends northwestward. The west side of the site has been severely damaged by granite quarrying. Three house sites from the Bronze Age were discovered, and seem to have a long square shape. The rim-perforated potteries with notched rim decorations and other rim-perforated potteries excavated from these sites indicate that the houses are from the mid Bronze Age. There are 6 house lot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hey are banumjip (half dugout hut) in the shape of a ‘凸’ with a protruding access on the south side, but the living space is either hexagonal or pentagonal in shape. An ‘ㄱ’ shaped single-line heating system was discovered inside House Lot No. 5, which formed a tunnel-shaped frame with stones, and was finished off by covering it with clay.
Hard plain potteries and paddled/beaten pattern potteries were discovered at the Proto Three-Kingdoms Period house site. These potteries were for daily use such as cooking, storage and transporting. Also excavated were a spindle wheel, blowhole made of clay, and large amounts of slag,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residents were involved in production activities like textile and ironware making. Based on the flat shape of the house site and the excavated relics, it is believed that the Proto-Three Kingdoms village was formed in the early 3rd century.
This is the first archaeological site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village to have been discovered in South Korea, and is also the first place where hexagonal houses with a tunnel-shaped heating system and protruding access facilities were discovered. As such, it is a site of great historical significance.
这是青铜器时代和原三国时代的村落形成的遗址。遗址位于海拔104米的丽妓山山顶和从丽妓朝西北方向延伸的山脊上,遗址的西面因花岗岩采石而严重损毁。青铜器时代的房屋遗址发现了三处,据推测形态为长方形,出土了口唇刻目孔纹土器和孔纹土器,大概是青铜器时代中期的房屋。原三国时代的房屋遗址发现了六处,南面设有凸出的出入口,是呈“凸”形的半穴式住居,但居住空间采用六边形结构。在五号房屋遗址内部发现了‘ㄱ’字形地炕口,用石头做了隧道形主体,然后再加黏土收尾。
在原三国时代房屋遗址出土的土器是硬质无纹土器和“打捺纹”土器,可用于烹调、储藏、搬运等日常生活中。还出土了用泥土捏制的纺锤环和送风口、大多量炉渣,似乎曾进行了纺织、铁器制作等生产活动。原三国时代村落从房屋遗址的平面形态和出土遗物来看,可能建造于三世纪初期。
该遗址是南韩地区最早发现的原三国时代村落遗址,而且在遗址中发现的地炕口和有凸出出入设施的六边形房屋遗址几乎也是最早的,具有较高的历史意义。
青銅器時代と原三国時代の村の遺跡である。標高104mのヨギサン(麗妓山)頂上と頂上から北西側へ伸びる稜線上に位置するが、遺跡の西側の場所が花崗岩の採石工事で甚だしく損われた。青銅器時代の住居跡は3基が調査され、その結果長い長方形であると推定され、また口唇に目が刻まれた孔列文土器とそうでない孔列文土器が出土したことから、青銅器時代中期の住居跡と考えられる。原三国時代の住居跡は6基が調査され、住居全体の姿南側に突き出した出入口をもつ「凸」形の半穴蔵だが居住空間は六角形あるいは五角形であることがわかった。第5号住居跡の内部には「逆L」字型の単線オンドルが発見されている。オンドルは石でトンネルの骨格を作た上に粘土をつみ重ねて仕上げられている。
原三国時代の住居跡では硬質無文土器と打捺文土器が出土した。これは調理、貯蔵、運搬など日常生活に使われる容器である。また、土で作った紡錘車と吹き出し口、大量のスラグが出土していることから、紡織、鉄器製作のような生産活動していたと考えられる。原三国時代の村は住居跡の平面形態と出土遺物からみて、3世紀はじめに作られたものと考えられる。
この遺跡は、韓国で最初に調査が行われた原三国時代の村の遺跡というだけでなく、遺跡から発見された単線オンドルや突出した出入口がある六角形の住居跡はすべて韓国初といいっていいくらい、歴史的な意味をもってい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