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도유형문화재 제209호
금산 미륵사 석조불두 및 마애불편 일괄 (錦山 彌勒寺 石造彿頭 및 磨崖彿片 一括)분 류 | 유물 / 불교조각 / 석조 / 불상 |
---|---|
수량/면적 | 불두 1구, 마애불편 |
지정(등록)일 | 2010.12.30 |
소 재 지 | 충청남도 금산군 복수면 지량리 산 122 |
시 대 | |
소유자(소유단체) | |
관리자(관리단체) |
미륵사 뒤편 암벽에 선각으로 옷주름을 새긴 뒤 그 위에 불두를 얹은 마애불이 있고 그 앞에는 깨져 일부만 남아 있는 석조삼존불입상이 위치한다. 삼존불은 본존불의 몸체 일부와 좌협시보살상의 일부가 큰 암벽에 얕게 선각되어 남아 있으며 그 주위에는 선각된 보살상들이 여러 편으로 나뉘어져 주위에 산재한다.석조불두는 코가 깨져 일부만 붙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통통한 빰에 양감 있는 모습이며 측면향을 한 보살상은 손에 여의를 들고 있어 문수보살로 추정되며 보살상의 얼굴은 좌우 모두 본존을 향해 측면으로 서 있는데 자연스러운 자세의 아름다운 모습이며 깨진 부분에 남아 있는 옷주름도 부드럽고 유려하다.삼존불의 얼굴이나 선각이 유려하고 조형적으로 우수하며 예술적으로 뛰어난 삼존불상은 매우 귀한 사례이다. 더욱이 여의를 든 문수를 포함한 석가삼존불은 불화에는 보이지만 조각으로는 거의 없는 도상적 특징을 보이고 있어 불교사적 가치가 높다.
미륵사 뒤편 암벽에 선각으로 옷주름을 새긴 뒤 그 위에 불두를 얹은 마애불이 있고 그 앞에는 깨져 일부만 남아 있는 석조삼존불입상이 위치한다. 삼존불은 본존불의 몸체 일부와 좌협시보살상의 일부가 큰 암벽에 얕게 선각되어 남아 있으며 그 주위에는 선각된 보살상들이 여러 편으로 나뉘어져 주위에 산재한다.석조불두는 코가 깨져 일부만 붙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통통한 빰에 양감 있는 모습이며 측면향을 한 보살상은 손에 여의를 들고 있어 문수보살로 추정되며 보살상의 얼굴은 좌우 모두 본존을 향해 측면으로 서 있는데 자연스러운 자세의 아름다운 모습이며 깨진 부분에 남아 있는 옷주름도 부드럽고 유려하다.삼존불의 얼굴이나 선각이 유려하고 조형적으로 우수하며 예술적으로 뛰어난 삼존불상은 매우 귀한 사례이다. 더욱이 여의를 든 문수를 포함한 석가삼존불은 불화에는 보이지만 조각으로는 거의 없는 도상적 특징을 보이고 있어 불교사적 가치가 높다.
내레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