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시계는 물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으로 시간을 측정하는 장치로서, 삼국시대부터 나라의 표준 시계로 사용하였다. 조선 세종 16년(1434) 장영실에 의해 정해진 시간에 종과 징·북이 저절로 울리도록 한 물시계가 처음 제작되었으나, 오래 사용되지는 못하였고, 중종 31년(1536)에 다시 제작한 자격루의 일부가 현재 남아 있다.
물시계의 원리를 보면, 맨 위에 있는 큰 물그릇에 넉넉히 물을 부어주면 그 물이 아래의 작은 그릇을 거쳐, 제일 아래쪽 길고 높은 물받이 통에 흘러든다. 물받이 통에 물이 고이면 그 위에 떠 있는 잣대가 점점 올라가 미리 정해진 눈금에 닿으며, 그곳에 장치해 놓은 지렛대 장치를 건드려 그 끝의 쇠 구슬을 구멍 속에 굴려 넣어준다. 이 쇠구슬은 다른 쇠구슬을 굴려주고 그것들이 차례로 미리 꾸며놓은 여러 공이를 건드려 종과 징·북을 울리기도 하고, 또는 나무로 만든 인형이 나타나 시각을 알려주는 팻말을 들어 보이기도 한다. 지금 남아 있는 물시계는 쇠구슬이 굴러 조화를 이루던 부분이 없어진 채, 물통 부분들만 남아 있다.
청동으로 된 큰 물그릇은 지름 93.5㎝, 높이 70.0㎝이며, 작은 물그릇은 지름 46.0㎝, 높이 40.5㎝이다.
현재 중국 광동에 남아 있는 명나라의 물시계보다 조금 늦게 만들어진 것이지만, 그 규모가 크고 만듦새가 훌륭하여 매우 귀중한 유물로 평가되고 있다.
The water clock was used for standard hours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Jagyeongnu, made in 1434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of Joseon, was the first water clock that was devised to strike the hour automatically with a bell, gong or drum. However, as it had not been properly preserved, King Jungjong had it remade in 1536, of which only some parts remain to the present. The bronze receptacle is 93.5cm in diameter and 70.0cm in height. The smaller ceramic vessel is 46.0cm in diameter and 40.5cm in height. Two pedestals for the latter still remain behind the Myeongjeongjeon Hall of Changgyeonggung Palace. The design of this water clock is as follows: The water poured into the upper largest vessel goes down via the smaller one into the long water tank. As the water level rises to the previously set position, a floating rod touches the lever device, which causes a bead at the other end to roll down to hit another bead. This bead, while rolling, triggers many devices to strike the gong, bell and drum or for a wooden puppet to lift up the time notice board. However, this no longer functions as only the vessel parts remain to this day. This water clock was made a little later than the one that had been made by the Ming Dynasty, China. Still, it is regarded very precious for its scale and elaborateness.
水漏是用水的增加量或减少量来测定时间的装置,从三国时代开始作为国家的标准计时使用。朝鲜世宗16年(1434)蒋英实首次制作了根据规定时间,钟、锣、鼓会自动鸣响的第一个水漏。但是未能长久使用,在中宗31年(1536)又重新制作了自击漏,它的一部分一直留传至今。它与现在留在中国广东的明朝水漏相比,制作时间稍晚,但规模大,样式好,被评价为了宝贵的遗物。
水時計は水の増加量或いは減少量で時間を測定する装置で、三国時代から国の標準時計として使用された。朝鮮世宗16年(1434)に蔣英実によって決まった時間に鐘とどら、太鼓が自動に鳴るようにした水時計が初めて造られたが、長く使用されず、中宗31年(1536)に新たに製作された自撃漏の一部が現在残っている。現在中国の広東に残っている明の水時計より若干遅れて造られたが、その規模が大きく、出来栄えが素晴らしいため、大変貴重な遺物として評価されてい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