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봉사(雙峰寺)에 세워져 있는 철감선사의 탑이다. 철감선사는 통일신라시대의 승려로, 28세 때 중국 당나라로 들어가 불교를 공부하였다. 문성왕 9년(847) 범일국사(梵日國師)와 함께 돌아와 풍악산에 머무르면서 도를 닦았으며, 경문왕대에 이 곳 화순지역의 아름다운 산수에 이끌려 절을 짓게 되는데, ‘쌍봉’인 그의 호를 따서 ‘쌍봉사’라 이름하였다. 경문왕 8년(868) 71세로 이 절에서 입적하니, 왕은 ‘철감’이라는 시호를 내리어 탑과 비를 세우도록 하였다.
탑은 전체가 8각으로 이루어진 일반적인 모습이며, 대부분 잘 남아 있으나 아쉽게도 꼭대기의 머리장식은 없어진 상태이다. 탑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기단(基壇)은 밑돌·가운데돌·윗돌의 세 부분으로 갖추어져 있으며, 특히 밑돌과 윗돌의 장식이 눈에 띄게 화려하다. 2단으로 마련된 밑돌은 마치 여덟마리의 사자가 구름위에 앉아 있는 모습으로, 저마다 다른 자세를 취하고 있으면서도 시선은 앞을 똑바로 쳐다보고 있어 흥미롭다. 윗돌 역시 2단으로 두어 아래에는 연꽃무늬를 두르고, 윗단에는 불교의 낙원에 산다는 극락조인 가릉빈가(伽陵頻迦)가 악기를 타는 모습을 도드라지게 새겨두었다. 사리가 모셔진 탑신(塔身)은 몸돌의 여덟 모서리마다 둥근 기둥모양을 새기고, 각 면마다 문짝모양, 사천왕상(四天王像), 비천상(飛天像) 등을 아름답게 조각해 두었다. 지붕돌에는 특히 최고조에 달한 조각 솜씨가 유감없이 발휘되어 있어서, 낙수면에는 기왓골이 깊게 패여 있고, 각 기와의 끝에는 막새기와가 표현되어 있으며, 처마에는 서까래까지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탑을 만든 시기는 선사가 입적한 해인 통일신라 경문왕 8년(868) 즈음일 것으로 추정된다. 조각 하나하나를 조심스럽게 다듬은 석공의 정성이 고스란히 전해져 오는 작품으로, 당시에 만들어진 탑 가운데 최대의 걸작품이라 할 수 있다.
This stone stupa standing in the precincts of Ssangbongsa Temple in Hwasun was built to honor Master Cheolgam (798-868), a Unified Silla monk who crossed the sea to Tang China at the age of 28 to study Buddhism. He returned home with his compatriot, State Preceptor Beomil, in 847, settled in Pungaksan Mountain, and later moved to Hwasun where he built a temple that he named Ssangbongsa based on his pen-name, which literally means “twin mountains.” When he died at the temple at the age of 71, King Gyeongmun (r. 861-875) of the Unified Silla Period awarded him the posthumous honorary title Cheolgam in recognition of his service and had his stupa and accompanying memorial stele built. The monument shows a typical feature of the octagonal stupas developed in Silla, although the finial is missing. The base consists of three parts -- lower, middle, and upper stones -- heavily decorated with carvings. Consisting of double tiers, the lower stone is elaborately carved with lions seated in different postures on clouds, all facing the front. The upper stone is also composed of double tiers wherein the lower tier is carved with lotus petals and the upper tier, with Kalavinkas, birds from the Land of Supreme Bliss, playing musical instruments. The main body of the stupa enshrining the relics of the monk is carved with eight round pillars in the corners and eight faces containing doors, Four Guardian Kings, and several apsaras carved in relief. The roof stone also boasts of excellent artisanship, with the sculptor paying careful attention to the correct rendering of the minute details including the furrows and ridges of tiled roof, decorative end tiles, and rafters underneath the eaves. The stupa is believed to have been erected in 868, the same year the monk died. The outstanding artistic skills, combined with the artist’s religious piety as delivered through this work of stonemasonry, makes it one of the greatest stone stupas made during the period.
是建造在双峰寺的澈鉴禅师的浮屠。澈鉴禅师作为统一新罗时代的僧侣,28岁时到中国唐朝学习佛教。文圣王9年(847)和梵日国师一起回来,留在枫岳山并修行佛道,景文王时被和顺地区美丽的山水所吸引而建造了这座寺庙,根据他的号‘双峰’而取名为‘双峰寺’。景文王8年(868)71岁时在这座寺庙圆寂,王赐予了‘澈鉴’的谥号并命令立塔碑纪念。造塔时期推测为禅师圆寂之年-统一新罗景文王8年(868)前后。这个精心修整雕刻的作品如实地反映了石匠精益求精的精神,可以说是当时建造的浮屠中最大的杰作。
双峰寺に建てられた澈鑒禅師の浮屠である。澈鑒禅師は統一新羅時代の僧侶で、28歳の時唐に渡り、仏教を勉強した。文聖王9年(847)に梵日国師と共に帰って来て、楓嶽山に留まって修行した。景文王の代には和順地域の美しい山水に魅せられて寺を建て、双峰という彼の号を取って「双峰寺」と呼んだ。景文王8年(868)71歳でこの寺で入寂し、王が「澈鑒」という諡号を賜り、塔と碑を建てた。塔を建てた時期は、禅師が入寂した年である統一新羅景文王8年(868)頃であると推定される。彫刻一つ一つを丁寧に加工した石工の真心がそのまま伝わってくる作品で、当時作られた浮屠のうち最高の傑作品と言え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