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경기12잡가 (京畿十二雜歌)분 류 | 무형문화재 |
---|---|
지정(등록)일 | 2009.03.30 |
소 재 지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관리자(관리단체) |
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는 각 지자체 담당부서에서 문화재정보를 입력·수정 관리하고 있습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문의사항이 있을 경우, 아래 지자체 담당부서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 상 세 문 의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화예술과 032-880-4667, 7971
문화재 설명
12잡가는 긴잡가라 하기도 하고, 좌창이라 하기도 한다.
19세기경 발생한 장르로서 사계축 소리꾼들 사이에서 만들어져 불렸다.
역사적으로 조선말기에 공예인, 상인, 기녀들이 즐겨 불렀고 사계축(四契軸:지금의 서울역에서 만리동 고개 및 청파동에 이르는 지역에 살던 남자 소리꾼들)에 의해 널리 보급되었다.
초기 12잡가는 8잡가와 잡잡가로 구분되었는데 8잡가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등이고, 잡잡가는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의 네 곡을 말한다. 이들을 12잡가로 묶은 것은 12가사의 영향인 것으로 본다. 현재 부르는 12잡가는 유산가, 적벽가, 제비가, 집장가, 소춘향가, 선유가, 형장가, 평양가,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이다.